반응형
10. 바람도 쉬어 넘는 고개 ~ - 작자 미상.pdf
0.09MB
바ᄅᆞᆷ도 쉬여 넘ᄂᆞᆫ ~
작자 미상
도 쉬여 넘 고 구름이라도 쉬여 넘 고
임과의 만남을 방해하는 장애물
山진이 水진이 해동청 보 쉬여 넘 高峰(고봉) 長城領(장성령)고
구체적인 지명
그 너머 님이 왓다면 나 아니 번도 쉬어 넘어가
가정적 상황 / 임에 대한 화자의 강렬한 사랑의 의지 표현
리라
<현대어 풀이>
바람도 쉬어 넘는 고개, 구름이라도 쉬어 넘는 고개,
산진이, 수진이, 해동청, 보라매도 다 쉬어 넘는 높은 장성령 고개,
그 너머에 임이 왔다고 하면 나는 한 번도 쉬지 않고 단숨에 넘으리라.
O 종류 : 사설 시조, 연모가(戀母歌)
O 제재 : 연모(戀慕)
O 주제 : 임을 기다리는 마음
O 특징 :
➀ 부재하는 임에 대한 그리움을 ‘고개’를 넘는 일에 비유하여 드러냄
➁ 점층법, 열거법, 과장법 등을 써서 화자의 의도를 강조함
➂ 가정의 상황을 설정하여 화자의 정서를 심화하는 효과를 거둠
O 화자와 대조 되는 자연물
바람, 구름, 산지니, 수지니, 해동청, 보라매 | 화자 |
고개를 쉬었다 넘음 | 고개를 쉬지 않고 넘음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