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수회의록
O 갈래 : 신소설. 단편 소설. 우화 소설. 정치 소설
O 성격 : 우화적. 풍자적
O 시점 : 1인칭 관찰자 시점
O 문체 : 연설문체
O 인물
➀ 까마귀 : 불효함 풍자
➁ 여우 : 외세에 의존하여 자신의 영달을 추고하고 동포를 압박하는 일 풍자
➂ 개구리 : 사람들은 좁은 소견으로 갑갑한 말만 한다고 함
➃ 벌 : 입으로는 꿀 같은 말을 하고 배에는 칼을 품은 마음을 지님
➄ 게 : 인간의 창자는 썩어서 옳은 창자를 가진 사람이 없음
➅ 파리 : 이익만을 쫓아 서로 싸우는 인간 풍자
➆ 호랑이 : 인간의 사나움 지적
➇ 원앙 : 사람의 음란함 풍자
O 구성 : 8마리의 동물이 차례로 인간의 문제점을 성토하는 회의 광경을 ‘나’가 관찰
O 사회자의 선언
➀ 제일석(第一席) - 까마귀 반포지효(反哺之孝) 부모에 대한 효도 강조
➁ 제이석(第二席) - 여우 호가호위(狐假虎威) 간사한 행동 경계
➂ 제삼석(第三席) - 개구리 정와어해(井蛙語海) 분수를 지킬 줄 모르는 행동 경계
➃ 제사석(第四席) - 벌 구밀복검(口蜜腹劍) 정직함 강조
➄ 제오석(第五席) - 게 무장공자(無腸公子) 지조와 절개 강조
➅ 제육석(第六席) - 파리 영영지극(營營之極) 형제, 동포 간의 우애 강조
➆ 제칠석(第七席) - 호랑이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포악하지 말 것을 강조
➇ 제팔석(第八席) - 원앙 쌍거쌍래(雙去雙來) 부부 금슬 강조
O 제재 : 동물 회의
O 주제 : 인간 세계의 모순과 비리와 타락상 풍자. 개화기의 혼란한 세태를 비판한 우화
O 의의 : 당시의 사회와 정치 및 인간의 부도덕성을 신랄하게 비판한 개화기 우화 소설의 대표적 작품이다.
O 출전 : 황성 서적업 조합 <금수회의록>(1908)
O 특징
➀ 입몽에서 각몽이라는 환몽 구조를 취하고 있음 (액자식 구성)
➁ 사건 전개 없이 연설만으로 이루어짐
O 신소설의 특징
➀ 내용상 특징 : 당시의 현실적 인물이 등장하고 자주독립, 신교육, 남녀평등, 자유 결혼, 미신 타파 등
개화 사상을 소재로 취하는 내용을 주로 다름
➁ 형식상 특징 : 작품의 서두가 종래의 전기체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장면 묘사로 시작되고, 언문일치를
시도하였으며, 역순행적 구성 등 다양한 전개 방식이 나타남.
➂ 한계 : 등장인물의 성격이 평면적이고, 사건의 우연성이 빈번하게 나타나며, 상투적인 종결 어미의 사용과 권선징악적 요소가 잔존
➃ 주요 작가와 작품 : 이인직의 ‘혈의 누’, ‘치악산’,‘귀의성’, 최찬식의 ‘추월색’, 안국선의 ‘금수회의록’
O 환몽구조
=> 현실 속의 주인공이 희망하던 바가 꿈속에서 실현되면서 우여곡절을 겪은 뒤 꿈에서 깨어나 어떤 깨달음을 얻게 되는 것으로 서사적 장치의 하나이다. ‘조신전’, ‘구운몽’ 등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었다.
O 인간 현실의 문제점
➀ 까마귀가 비판하는 인간 현실의 문제는 ‘불효’로 요약되지만 그 세세한 실상을 살펴보면 퇴폐와 향락, 이기주의, 허영과 오만, 반목과 대립 등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당대 사회에 만연한 사회적 문제를 지적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 할 수 있다.
➁ 까마귀는 사람들에게 좋지 않은 일이 생기는 것을 까마귀가 흉조인 탓으로 돌리는 것은 인간의 무지하고 어리석음을 드러내는 것이라 비판하고 있다. 이는 미신의 미망에 사로잡힌 당대 사람들의 전근대적 사고를 비판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O 까마귀가 인간에게 주는 이로움
=> 까마귀는 효에 모범을 보이는 것 이외에 곡식을 해하는 버러지를 잡아먹고, 밤중에 울어 사람들에게 나쁜 징조를 알려 사람들이 깨닫고 고치기를 권고하는 등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것으로 자신의 존재 가치를 드러내고 있다.
'요점정리 > 현대 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기억 속의 들꽃 (0) | 2023.04.15 |
---|---|
(요점 정리) 기미 독립 선언서 (0) | 2023.04.15 |
(요점 정리) 그렇습니까? 기린입니다 - 박민규 (0) | 2023.04.15 |
(요점 정리) 그 여자네 집 - 박완서 (0) | 2023.04.15 |
(요점 정리) 국물 있사옵니다 - 이근삼 (0) | 2023.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