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점정리/고전 산문

(요점 정리) 동국신속삼강행실도

by 답지책방 2023. 4. 16.
반응형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삼강오륜

삼강(三綱) : 유교에서 기본이 되는 관계를 규정한

세 가지 도리

- 군위신강(君爲臣綱) : 임금과 신하의 관계

- 부위자강(父爲子綱) : 아비와 아들의 관계

- 부위부강(夫爲婦綱) : 남편과 아내의 관계

 

오륜(五倫) : 유교에서 사람이 지켜야 한다고 하는

다섯 가지의 도리

- 군신유의(君臣有義) : 임금과 신하는 의가 있어야

.

- 부자유친(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은 친함이 있어

야 함.

- 부부유별(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어야

- 장유유서(長幼有序) : 어른과 아이는 차례가 있어야

- 붕우유신(朋友有信) : 벗과 벗은 믿음이 있어야 함

 

핵심정리

- 지은이 : 유근

- 출 전 :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

- 갈 래 : 번역문, 전기문

- 성 격 : 교훈적, 예찬적, 서사적

- 문 체 : 번역체

- 특 징

17세기 전반기의 풍속, 사상, 관습 등이

나타나고 있다.

한문 번역투의 문장을 사용하고 있다.

각각의 이야기는 '인물의 소개인물의

행적(임금의 포상)'의 순으로 서술되고 있다.

각 이야기마다 한 장의 그림과 한문, 국문 해석을

수록하여 다양한 계층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17세기 전반의 국어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

어적기와 이어적기의 혼용, 방점의 소멸, 모음 조

화의 문란)

 

본문 풀이

 

판결 김쳔일은 나이니 임진왜난의 의병을 슈챵여 셔울로 바여 강홰드러가 딕희여 튱쳥 졀라도 길흘니 경긔 셩이 의지야 보쟝삼앗더라 밋 진셩의 드러셔 모쟝슈로 더브러 죽기로 딕희기 고 함셩좌우엣 사이 권여 피쳔일이 니디 아니내 맛당히 예셔 주그리라 고 최경회 등으로 더브러 툑셕누 우희셔 통곡고 스스로 바회 아래 려뎌 주그니라 쇼경대왕이 증 자찬셩 시고 금샹됴애 졍문시니라. (충신도 권1, 38)

 

현대어 풀이

판결사 김천일(金千鎰)은 나주(羅州) 사람이니, 임진왜란에 의병을 일으켜서 서울로 바로 향하여 강화를 들어가 지키어 충청 전라도 길을 통하니, 경기 백성이 의지하여 보장을 삼았더라. 또한 진주성에 들어가서 모든 장수와 더불어 죽기로 지키기를 맹세하고, 성이 함락되거늘 좌우의 사람이 권하여 피하라 하거늘 천일이 일어나지 아니하여 가로되, 내 마땅히 여기서 죽으리라 하고 최경회(崔慶會) 등으로 더불어 촉석루 위에서 통곡하고 스스로 바위 아래 떨어져 죽으니라. 소경 대왕(선조 대왕)이 좌찬성을 증()하시고 지금 임금(광해군)께서 정문(旌門)하시었다.

 

=> 교훈 : 나라를 위해 충성하는 마음을 갖자

관련덕목 : , 군위신강

 

셕시의령현 사이니 심티의 안해라 나히 스믈희 지아비 죽거싀어미 셤기효로 더니 아비 가 코져  지아비 독로 일 주그니 아바님이 만일 시면 주근 지아븨 병든 어미그 뉘라셔 봉양링읻고 드듸여 졷디 아니코 싀어미 셤기믈 더옥 브즈런이 고 싀어미 양 뒫간의 갈 제 몸소 친히 업더라. (열녀도 권1, 42)

 

현대어 풀이

석씨(石氏)는 의령현(宜寧縣) 사람이니 심치(沈致)의 아내라. 나이 스물에 지아비 죽거늘 시어미 섬김을 효로 하더니, 아버지가 개가시키고자 하거늘 사양하여 가로되, 지아비 독자(獨子)로 일찍 죽으니 아버님이 만일 (수절의) 뜻을 빼앗으시면 죽은 지아비의 병든 어미를 그 누가 봉양하리이까. 드디어 좇지 않고 시어미 섬김을 더욱 부지런히 하고 시어미 매양 뒷간의 갈 때 몸소 친히 업더라.

 

=> 교훈 : 열녀 효부인 석씨 부인을 본받자

관련덕목 : , , 부위부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