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문자전
- 박지원
O 시대 : 조선 후기
O 갈래 : 한문 소설, 단편 소설
O 성격 : 풍자적. 비판적, 사실주의적
O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O 주제
① 양반들과 당시 세태 비판, 권모 술수가 판을 치던
당시 양반 사회의 풍자.
② 신의(信義) 있는 생활 자세와 허욕(虛慾)을 부리지
않는 삶의 태도 칭송
O 표현 : 당시 사회를 사실적으로 묘사함
O 구성
① 발단 : 광문이 거지 두목으로 추대되었으나 같이
살던 거지 아이들의 오해를 받아 도망치다가 우연히 어떤 집에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도 오해를 받게 되
지만 결국 결백함이 밝혀지게 되고 집주인의 도움을
받아 약방 점원이 된다.
② 전개 : 어느 날 약방에서 돈이 없어져 광문이 의심
을 받게 되나, 며칠 뒤 그의 무고함이 밝혀지고 장안
의 명사가 된다.
③ 위기, 절정 : 광문이 성실한 행동으로 위기를 넘기
고, 많은 사람들로부터 신임을 얻음
④ 결말 : 광문이 많은 사람들로부터 칭송을 받고, 그를
좋아하게 된다.
O 등장 인물
이 작품에 등장한 인물은 다채로워 서민과 양반계층이 함께 나타난다.
① 광문(廣文) : 종로에서 밥을 빌러 다는 거지. 거지
두목이었을 때 살인 누명을 쓰고 집단에서 쫓겨났을
때도 죽은 거지 아이를 공동 묘지에 묻어 주는 모습에
서 광문이 인정 많은 성품을 지닌 인물임을 알 수 있
고, 취직한 약방 주인에게 절도 혐의를 받았을 때 구차
하게 변명하지 않고 떳떳하게 처신하여 결백이 입증되
는 과정을 통해 그가 정직한 인물임을 알 수 있다. 이
해(利害)가 얽힌 각박한 불신 사회에서 남을 위해 선뜻
보증을 서 주고, 자신의 분수를 알고 결혼 및 치산(治
産)에 연연해하지 않는 인물이다.
② 기타 : 걸인들, 주인영감, 생약포 부인의 처조카, 생
약포 부인, 별감 등 복잡한 인물구성을 농민과 양반이
서로 어울려 등장하는 것이 특색이다.
O 연암소설의 전반적 성격
① 현실에 대한 비판과 풍자
=> 주로 양반에 대한 풍자로 ‘양반전’과 ‘호질’에 잘
나타난다.
② 새로운 인간형 제시
=> 평범한 사람 혹은 사회에서 천대받는 인물들로서
전대(前代)의 소설에서 두인공이 될 수 없었던 인물
로 ‘광문자전’의 ‘광문’, ‘예덕선생전’의 ‘엄행수’, ‘마
장전’의 ‘송욱’,‘조탑타’,‘장덕홍’ 이 그런 인물이다.
③ 인간성의 긍정과 평등사상
=> 인간성을 긍정하고 남녀 귀천에 관계없이 인간이
평등하다고 생각한다. 이는 ‘광문자전’, ‘열녀함양박
씨전’ 등에서 잘 나타난다.
O ‘광문자전’에 나타난 광문의 인간성
① 아픈 아이를 위해 구걸하고 죽은 아이를 묻어 주는
의롭고 인정 많은 성격.
② 자신의 것이 아닌 재물에는 욕심을 내지 않는 정직
한 성격.
③ 사람에 대한 신뢰를 중시하는 의로운 성격.
남녀가 대등하다고 생각하는 공평한 성격.
④ 신분과 성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어울리는
자유분방한 성격.
O ‘광문자전’의 풍자대상
① 헛된 명성과 허례허식에 집착하고 권모술수가 판을
치는 양반 사회의 세태를 풍자함.
② 사회적으로 천대받는 ‘거지’가 오히려 양반보다 더
고매하고 자유로운 삶을 살고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양반들의 위선을 풍자함.
O ‘광문자전’의 인물 설정
=> 광문은 사회에서 천대받는 최하층 계급의 인물로서
전대의 소설에서는 도저히 주인공이 될 수 없는 사람
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인물 설정은 인간성을 긍정하
고 남녀 귀천에 관계없이 인간이 평등하다는 사상을
표방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요점정리 > 고전 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바리공주(바리데기) (0) | 2023.04.22 |
---|---|
(요점 정리) 동국신속삼강행실도 (0) | 2023.04.16 |
(요점 정리) 도자설 - 강희맹 (0) | 2023.04.16 |
(요점 정리) 나를 지키는 집(수오재기) (0) | 2023.04.16 |
(요점정리) 공방전 - 임춘 (0) | 2023.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