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온 새색시 ‘큰상’을 받다
O 갈래 : 설명문
O 성격 : 묘사적, 설명정, 객관적
O 제재 : ‘큰상’
O 주제 : 전통 혼례 풍습과 ‘큰상’의 의미
O 특징
① 명료하고 평이한 서술로 조선 시대의 혼례 풍습을
알기 쉽게 설명함
② 김준근의 ‘신부연석’ 그림과 함께 조선 시대의 혼례
풍습을 설명하여 독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함
O 이 글의 구성 단계
① 시집온다고 고생했다
- 김준근의 그림 ‘신부연석’에 대한 묘사와 조선
시대의 혼례 풍습에 관한 설명
② 좌불안석하며 ‘신고식’을 치르는 신부
- 현구고례의 풍습과 신부에게 ‘큰상’을 내리는 이유
③ 달라진 ‘큰상’의 의미
- 19세기 이후 변화된 여성의 지위와 20세기 이후
달라진 혼례 문화
O 조선 시대의 혼례 절차
① 신부 집에서 신랑, 신부가 초례를 치름
② 사흘 후 폐백을 장만하여 신랑 집으로 신행을 감
③ 신랑 집으로온 신부는 준비해 온 폐백을 차려 놓고
시부모와 친척들에게 절을 올리는 현구고례를 함
④ 현구고례가 끝나면 신부는 치하의 의미가 담겨
있는 ‘큰상’을 받음
O 중국과 조선의 혼례 풍속의 차이
중국 | 조선 | |
폐백의 의미 | 딸을 시집보내 주어 고맙다는 뜻으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에 제공하는 선물 | 신부가 처음으로 신랑의 부모와 친척들에게 인사를 올리는 현구고례를 할 때 내 놓는 음식 |
현구고례의 의미 | 신부가 먼저 시부모에게 인사하고, 그다음에 신랑의 외숙부와 고모에게 인사하는 것 | 신부가 시부모와 친척들에게 함께 인사를 하는 것 |
O ‘큰상’의 의미의 변화
① 조선시대
- 시가에서 현구고례를 하느라 고역을 치른 신부의
노고를 치하하고, 앞으로의 시집살이를 위로하는
의미에서 차려 주던 상
② 근대
- 신부가 신랑 집에 갈 때 마련하는 선물인 이바지
③ 의미가 변화한 계기
- 20세기 들어 혼인이 예식장에서 이루어지면서
피로연을 끝낸 신부가 시집에 가면서 신랑의
일가친척에게 줄 선물을 별도로 마련해 가는 식으로
결혼 풍습이 변하였기 때문
'요점정리 > 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실용적인 정보를 찾아서 (0) | 2023.04.24 |
---|---|
(요점 정리) 식객 - 고추장 굴비편 - 허영만 (0) | 2023.04.24 |
(요점 정리) 슬기롭게 대화하기 (0) | 2023.04.24 |
(요점 정리) 소음을 줄이자 (0) | 2023.04.24 |
(요점 정리) 소설가 전상국과의 대화 (0) | 2023.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