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점정리/비문학

(요점 정리) 웃음을 자아내는 말하기

by 답지책방 2023. 4. 26.
반응형

 

웃음을 자아내는 말하기

 

O 해학의 뜻

- 해학 : 재미있고 우스꽝스러운 말이나 행동

 

O 해학적 표현 방법

- 과장 : 사실보다 지나치게 부풀려 나타냄

- 반복 : 같은 말을 여러번 되풀이

- 언어유희 : 말이나 글자를 소재로 하는 놀이. 말잇기

놀이, 어려운 말 외우기. 새말 만들기.

동음이의어를 이용한 말 장난.

 

O 전통 해학 문화의 특징과 의의

- 권위를 부정하고 상식을 뒤집기 위해서 해학이 담긴

재담을 활용함

- 힘들고 어려운 상활을 극복하기 위해 해학이 담긴

재담을 활용함.

=> 오늘날의 재담에도 계승되어 여러 가지 대화 상

황에서 긴장감을 해소하고 의사소통에 활력을 불

어 넣음.

 

O ‘흥부가에서 웃음을 유발하는 요소

- 말의 반복

=> “화초장, 화초장, 화초장, 화초장 하나를 얻었다.

얻었네. 얻었네. 화초장 하나를 얻었다.”

- 언어유희

=> “아차, 내가 잊었다! 초장, 초장. 아니다. 방장,

. 아니다. 고추장, 된장. 아니다. 송장, 구들장.

아니다.”

 

O ‘흥부가에서 놀부를 우스꽝스럽게 표현한 이유

- 욕심이 많은 사람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하여 그 인물을 조롱하고 비판하고자 함.

 

O ‘하회 별신굿 탈놀이에 드러난 인물의 역할

양반 양반의 허위의식과 무식함을 드러냄
선비 양반의 권위를 무너뜨림
초랭이 양반을 노골적으로 비판하고 희화화함.

 

O ‘하회 별신굿 탈놀이에서 웃음을 유발하는 요소

- 언어유희

=> 사대부? 나는 팔대부의 자손일세

=> 우리 할아버지는 바로 문상시대인걸

=> 나는 팔서육경을 다 읽었네

=> 헤헤헤. 나도 아는 육경, 그것도 모릅니까? 팔만

대장경, 중의 바라경, 봉사의 안경, 약국의 길경,

자의 월경 머슴의 세경 말입니다.

 

O ‘하회 별신굿 탈놀이에 나타난 해학 문화의 역할

=> 평민들이 양반 계층에게 억눌려 왔던 불만을 조금

이나마 해소하게 됨.

=> 상식을 뒤집거나, 힘들고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게

하는 역할을 함.

 

O ‘현경이와 지은이의 대화에 나타난 재담의 특징

=> 지은이를 위로해주기 위해

=> 언어유희

- “그래, 우리가 무슨 담감도 아니고, 땡감도 아니

, 영감도 아닌데, 이렇게 우울하면 되겠니?”

 

O ‘진행자와 가인의 대화에서 웃음을 유발하는 요소

=> 언어유희

- ‘저 형 예술이다라는 말을 듣고 조형 예술을 시

작했다는 말

- ‘이 동음이의어임을 이용한 말

=> 과장

- 16년 동안 물뿌리개로 생활했다는 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