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점정리/현대 운문

(요점 정리) 진달래 꽃 - 김소월

by 기출마스터 2023. 4. 28.
반응형

 

 

진달래꽃

-  김소월

 

나 보기가 역겨워
마음에 거슬리고 싫어

가실 때에는
이별의 가정(나를 떠나신다면)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인종과 체념의 정서

=>1: 이별의 상황에 대한 체념

영변에 약산
평안북도에 있는 지명, 향토적 정서

진달래꽃
시적화자의 분신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을 상징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두 팔을 벌려 껴안은 둘레의 길이 / 산화공덕

=> 2: 떠나는 임에 대한 축복

 

가시는 걸음 걸음

놓인 그
임에 대한 의 희생적 사랑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자기 희생을 통해 이별의 정한을 숭고한 사랑으로 승화

=> 3: 임에 대한 희생적 사랑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반어적 표현

=> 4: 인고의 의지로 이별의 슬픔을 극복

 

O 지은이 : 김소월(金素月 : 19021934),

본명은 정식,‘소월은 이호

O 갈 래 : 자유시, 서정시, 민요시, 낭만시

O 성 격 : 전통적, 향토적, 민요적, 여성적

O 어 조 : 여성적인 간절한 목소리

O 운 율 : 7·5, 3음보 율격

O 제 재 : 사랑하는 임과의 이별

O 주 제 : 이별의 정한과 그 승화

O 특 징 :

반어적(反語的) 표현을 통한 절제미와 압축미

애이불비 및 인종(忍從)의 미덕을 바탕으로 한 유교

적 휴머니즘

O 구성 :

수미상응()(首尾相應)()의 구성 방식(1연과 4)

- 형태상 안정감

---4단 구성

O 출 전 :‘개벽(開闢)’

O 노래의 짜임

(1) 이별의 정한 이별의 상황을 가정
(2) 떠나는 임에 대한 축복 이별의 상황에서의 전통적인 대응 방식
(3) 원망을 초극한 희생적 사랑
(4) 인고의 의지로 슬픔 극복 전통적인 정서인 한()의 의미

 

O 전통시와의 접맥

소재적 전통

진달래꽃은 한국 꽃의 대유적 존재로서, 향가인헌화가를 비롯하여 정철의 가사관동별곡등에 등장하는 소재다. 사군자(四君子)가 주로 임에 대한 절개나 의지를 상징한다면, 진달래꽃은 주로 애정시에 등장해 왔다.

산화공덕(散花功德)

불교에서 부처님 앞에 꽃을 뿌려 공양하는 일을 뜻하는 말로서, 나를 떠나가는 임의 앞에 뿌리는 진달래꽃에는 임의 행복을 화자의 마음이 응결되어 있다. 산화공덕의 의식은 향가도솔가에도 보인다.

이별의 정한

전통적인 정서라 할 수 있는 한 또는 이별의 정한은 고려 속요인가시리’,‘서경별곡’,정지상의 한시송인및 조선 시대 황진이를 비롯한 여류 시인들의 시조, 민요아리랑과 접맥되어 있다.

 

전통적 운율

한국 시가의 전통적인 운율이라 할 수 있는 75조의 음수율과, 4(3)/3(4)/53음보율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전통적인 민요의 형태를 계승하고 있다.

 

O 진달래꽃의 상징적인 의미

자연물로서 존재하는 꽃이 아니라 시적 화자의 임에

대한 사랑, 정열

피학자의 입장에서 가학자인 임에게 자신의 사랑을

확인시키고 싶은 잠재 의식의 표현

 

(3) 시에 나타난 형상성 - 구체적인 이미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영변에 있는 약산 진달래꽃을 통해서 진달래꽃의 모양이 아주 화려하고도 아름다운 이미지로 느껴진다.‘아름 따다라는 말에서는 어떤 정열적인 이미지가,‘사뿐히 즈려 밟고라는 행동에서는 슬픔을 참고 견디려는 미덕이 느껴진다.

 

 

 

 

진달래꽃- 김소월.pdf
0.12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