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인상이라는 이름의 선입견
O 갈래 : 텔레비전 드라마 대본
O 성격 : 일상적, 교훈적
O 제재 : 오해와 편견
O 주제 : 선입견으로 인한 오해와 반성
O 담화 : 말하는이(화자), 듣는이(청자), 말하는이와 듣
는이 사이에 오가는 정보, 장면으로 구성됨.
O 장면 : 언어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시간
및 공간적 상황, 담화 상황의 분위기, 담화 상황과 관
련된 사건 등을 포함함.
O 담화의 장면을 파악할 때 고려해야할 점
=> 참여자, 참여자들 사이의 관계와 심리적 태도를 고
려해야 함.
O 심리적 태도 : 상대에 대해 말하는 이가 느끼는 심리
적 거리, 어떤 사건의 상태를 해석하는 말하는 이의 관
점
O 심리적 태도가 드러나는 표현들
① 원근 표현
⒜ ‘이’ : 화자와 가까운 대상을 지시
⒝ ‘그’ : 청자와 가까운 대상을 지시
⒞ ‘저’ : 화자와 청자로부터 멀리 있는 대상을 지시
② 부정 표현
⒜ ‘못’부정문 : 주체의 능력을 부정하는 의미
⒝ ‘안’부정문 : 주체의 의지를 부정하는 의미
③ 피동 및 사동 표현
⒜ 피동 표현 : 주체가 스스로 행하거나 상태를 변화
시키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요인에 의해 상태의 변
화를 입게 되는 것
- 접미사 ‘-이-/-히-/-리-/-기-/’ 혹은 ‘-어지다/-
게 되다’를 결합. 객관적인 사건 전달, 책임 회피, 우
회적인 요구 등의 심리적 의도 전달.
⒝ 사동 표현 : 주어가 남에게 동작을 하도록 시키는
것
- 접미사 ‘-이-/-히-/-리-/-기-/-우-/-구-/-추-’
혹은 ‘-시키다/-게 하다’를 결합. 행동의 원인 강조,
시키는 자의 행위 부각, 주제의 강조나 은폐 등의
심리적 태도를 전달
④ 높임 표현
⒜ 주체 높임법 : 서술상의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가
많거나 사회적 지위가 높을 때, 서술의 주체를 높이
는 방법.
⒝ 객체 높임법 :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
⒞ 상대 높임법 : 화자가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방법
격식체 | 하십시오체 | -(으)십시오 |
하오체 | -(으)오 | |
하게체 | -게 | |
해라체 | -아라/-어라 | |
비격식체 | 해요체 | -아요/-어요, -지요 |
해체 | -아/-어, -지 |
O 시나리오의 특성
➀ TV드라마나 영화 상영을 목적으로 함
➁ 인물의 대사와 행동을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
➂ 인물의 수나 시‧공간의 제약이 거의 없음
④ 장면의 전환이 자유로움
⑤ 촬영과 관련된 특수한 용어를 사용함
O 인물의 성격 제시 방법
① 직접적 제시
=> 서술자가 인물의 특성을 직접적으로 요약해서 설
명하는 것
② 간접적 제시
=> 인물의 외양이나 행동, 대화 등 객관적인 상황을
보여 줌으로써, 간접적으로 인물의 특성을 드러내는
것
O 내레이션의 기능
① 인물의 심리를 직접적으로 드러냄
② 압축적 서술로 사건 진행을 빠르게 함
O 중요 시나리오 용어
C.U | 화면 확대 | PAN. | 카메라 회전 |
F.I | 점차 밝아짐 | IMS. | 장면 삽입 |
F.O | 점차 어두워짐 | W.O | 화면을 닦아내듯 전환 |
O.L | 장면 겹침 | O.S | 목소리로만 대사 전달 |
E. | 효과음 |
'요점정리 > 현대 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파수꾼 - 이강백 (0) | 2023.04.30 |
---|---|
(요점 정리) 태평천하 - 채만식 (0) | 2023.04.30 |
(요점 정리) 챔피언 (0) | 2023.04.28 |
(요점 정리) 자전거 도둑 - 박완서 (0) | 2023.04.28 |
(요점 정리) 임종 - 염상섭 (0) | 2023.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