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점정리 전체 다운로드
돌다리
이태준
O 갈래 : 단편소설
O 성격 : 사실적, 비판적, 교훈적
O 배경 : 일제 강점기, 농촌 마을
O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O 제재 : 돌다리
O 주제 : 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대한 비판
O 특징
➀ 상징적인 소재를 통해 인물의 가치관을 드러냄
➁ 인물들 간의 대화를 통해 주제를 형상화
O 등장인물의 처지 및 성격
아버지 | 시골에 사는 농부, 옛 것을 소중히 여기며 땅을 지키며 살고자 함 |
아들 | 도시에 사는 의사, 근대적·실용적 가치관을 지님. |
O ‘창섭이’가 아버지에게 땅을 팔자고 설득하는 근거
① 외아들이 자신이 서울에서 부모님을 모시고자 함.
② 땅보다 병원에서 나오는 수익이 큼.
③ 마침 좋은 건물이 나옴.
④ 땅은 다시 살 수 있음.
창섭이의 물질적, 실용적 가치관을 알 수 있음.
O ‘돌다리’와 ‘나무다리’의 의미
돌다리 | 조상들의 추억이 담긴 가족사의 일부 | 전통적 가치관 |
⇳(대조) | ||
나무다리 | 최근에 만들어진 편리한 문물 | 근대적 가치 |
아버지가 돌다리를 고치는 것은 아버지의 추억이 담긴 장소를 회복하는 것이며, 전통적 세계관이 계승되기를 염원하는 행위이다.
O ‘땅’에 대한 인물의 가치관 차이
아버지 (전통적 가치관) |
① 삶의 터전이자 만물의 근원으로 여김. ② 가족들의 추억이 담겨 있으므로 팔 수 있는 것이 아님. |
⇳(갈등) | |
아들 (창섭) (근대적 가치관) |
① 금전적 가치를 지닌 대상으로 여김. ② 땅을 팔아서 병원을 확장하기 위한 돈을 마련하고 싶음. |
O 아버지가 비판하는 대상
➀ 땅을 문서 쪽으로 사 모으기만 하는 사람들
➁ 돈놀이처럼 변리만 생각하고 땅을 헌신짝 버리듯 하는 사람들
➂ 땅은 작인에게 맡기고 소출은 도회지에 낭비하는 지주들
➃ 땅 가꾸는 돈을 아끼는 사람들
땅의 소중함을 모르고 오직 물질적, 경제적 가치로만 따지며, 땅을 홀대하는 사람들
O 이 글에서 추측할 수 있는 당시 삶의 모습
근대적인 삶을 나타내는 단어들 : 신의(서양 의 술을 배운 의사) 전통적인 삶을 나타내는 단어들 : 소작, 지주, 작 인 |
⇩ |
전통적인 삶과 근대적인 삶이 혼재되어 있음. 일제 강점기에 서구 문물이 유입되며 삶에 많은 변화가 생김. 전통적 가치관과 근대적 가치관의 혼재로 인해 서로 다른 가치관을 지닌 사람들 간의 갈등이 발 생함. |
O 아버지가 땅을 팔려는 사람들
- ‘용문이, 문보, 덕길이’
⇨ 땅의 소중함과 고마움을 아는 사람들
⇨ 땅을 함부로 여기지 않을 사람들
O 백낙천의 시 내용과 의미
내용 : 자식을 열심히 길렀으나 늙어서 둘만 남은 늙은 어버이 제비 이야기
⇨ 자식이 떠나 쓸쓸하지만 본인도 젊었을 때 그러했음을 깨닫고 자식을 원망하지 말라는 의미를 담고 있음.
'요점정리 > 현대 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마지막 땅 - 양귀자 (0) | 2023.05.09 |
---|---|
(요점 정리) 레디메이드 인생 - 채만식 (0) | 2023.05.09 |
(요점 정리) 너라는 꽃이 피는 계절 - 김난도 (0) | 2023.05.07 |
(요점 정리) 당신이 나무를 더 사랑하는 까닭 - 신영복 (0) | 2023.05.07 |
(요점 정리) 한 그루 나무처럼 (0) | 2023.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