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점정리/현대 산문

(요점 정리) 봉산탈춤

by 답지책방 2023. 5. 9.
반응형

4-3-1 봉산탈춤.pdf
0.12MB

 

 

 

 

봉산탈춤(양반 마당)

 

O 갈래 : 연극, 가면극(탈춤)

O 성격 : 비판적, 풍자적, 서민적, 해학적

O 주제 : 양반의 위선과 비판 의식의 풍자 및 조롱

O 제재 : 양반들의 허위와 무지

O 특징 :

당시 지배층(봉건적 질서 포함)에 대한 조롱과 풍자 가 나타남.

풍자와 과장, 희화화 등의 표현을 통해 골계미를 드 러냄

서민층의 언어와 양반층의 언어가 함께 나타남.

무대와 객석, 배우와 관객이 엄격하게 구분되지 않 .

공연 장소와 극 중 장소가 따로 설정되지 않고 일 치함.

일정한 재담 구조를 반복하고 있음.

 

O ‘6과장 양반 마당의 구성

인물의 등장 벙거지에 채찍을 든 말뚝이와 비정상적인 모습의 양반 삼 형제가 등장함.
말뚝이의 재담 양반 글자 뜻풀이, 담배, 장단, 양반 찾기, 새처 정하기 등의 재담을 통해 양반을 조롱하고 비판함.
양반들의 글자 놀이 양반들의 시조 짓기, 운자 놀이, 파자 놀이를 통해그들의무지(무식함)과 허세를 드러냄.
취발이 잡아들이기 취발이(상인)를 전령을 통해 잡아들여 돈을 뜯어내는 양반의 모습을 드러냄.
인물의 퇴장 모두가 어울려 춤추면서 퇴장함

O ‘양반 마당의 주요 인물

말뚝이 - 양반 계층에 대한 서민들의 비판 의식을 대변하는 인물
- 양반을 조롱하고 희화화 하여 그들의 무능과 허세 등을 폭로하고 풍자함.
양반 3형제 - 생원, 서방, 도령의 세 인물로 말뚝이의 조롱의 대상이 되는 인물.
- 양반 계층의 무식함, 부정부패, 횡포를 상징적으로 나타냄.
취발이 - 조선 시대 신흥 상인 계층을 나타내는 인물.
- 재산, 명예를 축적하여 실질적인 권력을 지님.

 

O ‘양반 마당의 재담 구조

양반의 위엄

말뚝이의 조롱

양반의 호통

말뚝이의 변명

양반의 안심

 

O 언어유희와 풍자

- 언어유희 : 말이나 문자를 소재로 하는 놀이를 뜻함. 봉산 탈춤 에서는 언어유희로 풍자를 드러냄.

개잘량이라는 자에 개다리소반이라는 자 쓰는 양반이 나오신단 말이오

=> 양반(兩班) 개잘량(개의 가죽), 개다리소반의

마구간에 들어가 노새 원님 끌어다가·····.’

=> 발음의 유사성을 이용해 양반을 조롱함

노새 원님노생원님(老生員)

 

O 봉산 탈춤의 표현상 특징

민중들이 사용하는 고유어, 비속어, 사투리가 나타남

=> 가면극 향유 계층이 넓었음

양반 취향의 한문 투 표현이 나타남.

=> 대부분의 한문 투 표현이 양반을 풍자, 조롱하는 장면에서 나옴. 양반들에 대한 풍자, 비판을 강조 함.

 

O 주요 어휘와 표현

 

쉬이 재담의 시작
양반의 생김새를 장애인처럼 표현 양반의 무식함, 희화화
여보, 구경하시는 양반들,” 관객의 참여유도
악공들 말씀 들으시오 악공의 개입
등에 솔질을 솰솰하여 말뚝이 님·····.“ 자기를 높임
전령 양반의 권력이 아직 살아있다는 것을 보여줌
낙양성 십 리허에. 높고 낮은 저 무덤에 (영웅호걸이 몇몇이냐 인생무상, 민요

 

O 전통 가면극과 현대 연극


가면극 현대연극
공통점 등장인물 사이의 갈등 조장과 해결에 따라 극이 진행됨.
인물들의 대화와 행동 에 의해 사건이 전개됨.
구성 각 과장이 서로 인과 관계 없이 독립적인
주제로 구성됨(옴니버스 식 구성)
단일한 주제, 전체가 인과 관계에 의해 구성됨(유기적 구성)
공간 공연 공간과 극 중 공간이 필요에 따라 일치. 공연 공간과 극 중 공간이 엄격하게 분리되어 불일치.
관객 관객이 극 중에 능동적으로 참여 관객의 참여가 거의 불가능.
무대 특정한 무대나 무대장치, 소품 등이 필요없음 무대를 별도 공간으로 마련하고,
극 중 상황을 나타내는 소품 사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