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점정리/현대 운문

(요점 정리) 국수 - 백석

by 기출마스터 2023. 5. 11.
반응형

3-1-2 국수 - 백석.pdf
0.15MB

 

 

 

국수

- 백석

이 많이 와서

계쩔적 배경을 드러냄 (겨울)

산앳새가 벌로 나려 멕이고

 

눈구덩이에 토끼가 더러 빠지기도 하면

계쩔적 배경을 드러냄 (겨울)

마을에는 그 무슨 반가운 것이 오는가 보다

: 국수 / 기대감

한가한 애동들은 어둡도록 꿩사냥을 하고

 

가난한 엄매는 밤중에 김치가재미로 가고

 

마을을 구수한 즐거움에 사서 은근하니 흥성흥성 들뜨

후각적, 미각적 심상

게 하며

이것은 오는 것이다

이것은 ~ 오는 것이다 => 반복되는 문장 구조 - 친근감 형성,

마을 공동체의 오랜 전통 강조

이것 어늬 양지귀 혹은 능달쪽 외따른 산 옆 은댕이 예데가리 밭에서

 

하로밤 뽀오햔 흰김 속에 접시귀 소기름불이 뿌우현 부

국수를 삶는 부엌의 풍경 (시각적 심상)

엌에

 

산멍에 같은 분틀을 타고 오는 것이다

『』 - 밭의 메밀이 국수가 되기 까지의 과정

이것 이득한 녯날 한가하고 즐겁든 새월로부터

 

실 같은 봄비 속을 타는 듯한 녀름 볕 속을 지나서 들

 

쿠레 한 구시월 갈바람 속을 지나서

봄에서 가을까지 메밀이 성장하는 과정을 표현

대대로 나며 죽으며 죽으며 나며 하는 이 마을 사람들

번형된 반복법을 통해 마을이 오래된 공동체임을 강조

의 으젓한 마음을 지나서 텁텁한 꿈을 지나서

『』 - 설화적 분위기로 국수를 나눠 먹는 오랜 전통을 환기하는 부 분

지붕에 마당에 우물든덩함박눈이 푹푹 쌓이는 여

계쩔적 배경을 드러냄 (겨울)

늬 하로밤

 

아베 앞에 그 어린 아들 앞에 아베 앞에는 왕사발에 아

 

들 앞에는 새끼 사발에 그득히 사리워 오는 것이다

 

이것 그 곰의 잔등에 업혀서 길여났다는 먼 녯적 큰마니

 

또 그 집등색이에 서서 자채기를 하면 산 넘엣 마을까지 들렸다는

 

먼 녯적 큰아바지가 오는 것같이 오는 것이다

『』 - 설화적 분위기로 국수를 나눠 먹는 오랜 전통을 환기하는 부 분

=> 국수를 만들어 먹으려는 마을 사람들의 들뜬 모습

 

, 이 반가운 것은 무엇인가

영탄법 / ~ 무엇인가=> 반복되는 문장 구조 - 질문의 반복을 통해 국수의 의미를 확장함

이 히수무레하고 부드럽고 수수하고 슴슴한 것은 무엇인가 시각적, 미각적 심상

 

겨울밤 쩡하니 닉은 동티미국을 좋아하고 얼얼한 댕추

계쩔적 배경을 드러냄 (겨울)

가루를 좋아하고 싱싱한 산꿩의 고기를 좋아하고

 

그리고 담배 내음새 탄수 내음새 또 수육을 삶는 육

국수를 먹는 방에서 나느 냄새 후각적 심상(열거법)

수국 내음새 자욱한 더북한 삿방 쩔쩔 끓는 아르궅

계쩔적 배경을 드러냄 (겨울)

좋아하는 이것은 무엇인가

=> 국수의 재료와 특성에 대한 묘사

조용한 마을과 이 마을의 으젓한 사람들과 살틀하니 친한 것은 무엇인가

 

 

그지없이 고담(枯淡)하고 소박한 것은 무엇인가

=> 국수에 깃든 민족의 심성과 전통적 삶의 가치

 

 

O 갈래 : 현대시, 자유시, 서정시

O 성격 : 전통, 감각적

O 주제 : 고향의 정겨운 풍경과 공동체적 삶에 대한 애 정

O 특징 :

국수라는 음식을 소재로 하여 우리 민족의 전통적 세계를 재현함

방언순우리말을 감각적으로 구사하여 민족 공동 체의 정서를 드러냄

 

 

 

 

O 이 시의 구조

1 국수를 만드는 시골의 정경, 국수에 대한 추억
2 국수의 특성 : 색깔, , 냄새, 곁들여 먹는 것, 먹는 장소
3 그지없이 고담하고 소박한 국수와 마을 사람들

 

O 시적 화자와 표현상의 특징

시적
화자
평안도 방언을 구사하는 이
눈 내린 겨울밤에 국수를 함께 먹던 고향의 모습을 회상하며 그리워하는 이
표현상의
특징
평안도 사투리를 활용하여 토속적 분위기를 조성함
지시 대명사와 의문형을 반복하여 시적 대상인 국수로 시상을 응축함
열거법을 사용하여 국수가 지닌 속성을 나열함
영탄법을 사용하여 시적 대상에 대한 화자의 감정을 표현함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시적 대상을 구체적이고 생동감 있게 그려냄

 

 

 

 

 

 

 

 

 

 

 

O 시어의 특징과 정서

시어의 특징 정서
(고유어와 방언)
김치가재미’, ‘은댕이’, ‘예데가리밭’, ‘산멍에
토속적, 현장감,
사실성
(가족과 관련한 시어)
엄매’, ‘아배’, ‘아들’, ‘큰마니’,‘큰아바지
가족 공동체의 포근하고 정겨움
(감각적 시어)
뽀오얀 흰김’, ‘들쿠레한 구시월 갈 바람’, ‘희수무레하고 부드럽고 수수하고 슴슴한
작품 속의 풍경, 냄새, 국수의 맛 등을 생생하게 느끼게 함

 

O ‘국수의 상징적 의미

국수를 표현한 구절 의미
마을을 구수한 즐거움에 싸서 은근하니 흥성흥성 들뜨게 하며 공동체가 즐거움과 흥겨움을 누리게 하던 음식
아배 앞에 그 어린 아들 앞에 ~ 그득히 사리워 오는 것 가족의 소박한 즐거움이 담긴 음식
이것은 그 곰의 잔등에 업혀서 길여 났다는 먼 녯적 ~ 큰아버지가 오는 것 같이 같이 오는 것 우리 민족의 오랜 역사와 삶이 담긴 음식
이 희수무레하고 부드럽고 수수하고 슴슴한 것 국수의 특성과 같은 우리 민족의 심성이 담긴 음식
겨울밤 쩡하니 닉은 통티미 국을 ~ 아그굴을 좋아하나는 이것 우리 민족의 문화를 드러내는 음식
이 조용한 마을과 ~ 살틀하니 친한 것
이 그지 없이 고담하고 소박한 것
우리 민족의 심성을 담고 있는 음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