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확한 발음과 표기
O ‘ㅖ’와 ‘ㅢ’의 발음
‘ㅖ’ | ‘ㅖ’는 원래 소리대로 [ㅖ]로 발음함 ‘예,례’ 이외의 경우에는 [ㅔ,ㅖ]로 발음함 |
‘ㅢ’ | - ‘의’로 쓰여 단어 첫 글자에 나오는 경우에는 [ㅢ]로 발음함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ㅢ’는 [ㅣ]로 발음함 단어의 첫 글자 이외의 ‘의’는 [ㅣ]로 발음함도 허용함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함 |
O 일곱 개의 받침소리
➀ 국어의 받침에 올 수 있는 소리(7개)
- ㄱ,ㄴ,ㄷ,ㄹ,ㅁ,ㅂ,ㅇ
➁ 그 외의 받침들은 [ㄱ,ㄷ,ㅂ]중의 하나로 발음됨.
O 겹받침의 발음
앞 자음이 소리나는 겹받침 | 넋[넉], 앉다[안따], 여덟[여덜], 외곬[외골], 핥다[할따], 값[갑] |
뒤 자음이 소리나는 겹받침 | 닭[닥], 늙다[늑따], 삶[삼:], 읇다[읍따] |
O 겹받침 발음의 예외
ꥤ | 용언의 ‘ ꥤ’은 활용할 때 ‘ㄱ’앞에서 [ㄹ]로 발음됨 |
ꥩ | 동사 ‘밟다’의 ‘밟-’뒤에 자음이 오면 [ㅂ]으로 발음됨 ‘넓죽하다’와 ‘넓둥글다’, ‘넓적하다’의 ‘ ꥩ’은 [ㅂ]으로 발음됨 |
O 받침 뒤에 다른 말이 이어질 때의 발음
모음이 이어질 때 | 뒤의 말이 실질적인 의미를 지닐 때 | 대표음으로 바뀐 뒤 이어지는 말의 첫소리가 됨 |
뒤의 말이 실질적인 의미를 지니지 않을 때 | 원래 소리 그대로 이어지는 말의 첫소리가 됨 겹받침인 경우에는 앞말의 받침과 뒷말의 첫소리로 나뉨 |
|
자음이 이어질 때 | 이어지는 자음과 만나 소리가 다양하게 바뀜 |
O 생활 속의 정확한 표기
➀ 모음을 줄여 쓸 때 ‘-ㅚ’ 뒤에 ‘-ㅓ’가 오면 ‘ㅙ’로 적음 예) 되+어 = 돼, 뵈+어=봬
➁ ‘-데’ : 본인이 경험한 지난 일을 돌이켜 말할 때 쓰는 말로, ‘더라’와 같음
➂ ‘-대’ : 남에게 들은 일로, ‘다(고) 해’가 줄어든 말
➃ ‘왠’ : 하나의 단어가 아니라 그 자체로는 의미가 없고 ‘왜인지’가 줄어든 ‘왠지’에만 나타남
➄ ‘웬’ : 하나의 단어로 ‘어찌 된, 어떠한’이라는 뜻의 관형사
➅ 그 외 자주 틀리는 표현
육개장 (X) | 육게장 (X) |
육개장 (O) | |
떡뽀끼 (X) | 떡볶이 (O) |
떡뽂이 (X) | 떡뽁이 (X) |
갈치졸임 (X) | 갈치조림 (O) |
찌개 (O) | 찌게 (X) |
쭈꾸미 (X) | 주꾸미 (O) |
갈치 (X) | 칼치 (X) |
강낭콩 (O) | 강남콩 (X) |
냄비 (O) | 남비 (X) |
마춤옷 (X) | 맞춤옷 (O) |
재단 (O) | 제단 (X) |
반응형
'요점정리 >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통일을 향한 국어의 길 (0) | 2023.05.29 |
---|---|
(요점 정리) 장단음 정리 (0) | 2023.05.29 |
(요점 정리) 한글의 창제 원리와 특성 (0) | 2023.05.19 |
(요점 정리) 올바른 발음과 표기 (0) | 2023.05.19 |
(요점 정리) 품사의 종류와 특성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