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탄생
1. 고대 국어
① 시기 : 삼국 시대 - 통일신라( - 10세기 이전)
② 특징 : 신라의 삼국 통일로 경주어 중심, 최초의 언어 통일
2. 중세 국어
① 시기 : 고려 건국 - 임진왜란 전까지(10세기 - 16세기)
② 특징 : 언어의 중심지가 경주에서 개성으로 이동, 완전한 언어 통일, 우리말의 탄생
③ 구분 : 훈민정음 창제를 기준으로 중세 전기와 중세 후기로 나눔
3. 근대 국어
① 시기 : 임진왜란 후 - 갑오경장(17세기 - 19세기)
② 특징 : 현대 국어 체계 형성
4. 현대 국어
① 시기 : 갑오경장 후 - 현재(20세기 - )
② 특징 : 한글 맞춤법 통일안 완성, 언문일치
⑵ 국어의 계통
1. 알타이어족
2. 몽골, 만주-퉁구스, 튀르크 어군
3. 공통적 특징
㉠ 모음조화
㉡ 두음법칙
㉢ 수식어 + 피수식어
㉣ 주어 + 목적어 + 서술어
㉤ 관사, 전치사, 관계대명사, 성 구별 없음
㉥ 교착어, 첨가어(어미와 조사의 결합이 가능)
4. 알타이 어족 – 부여계 언어 – 고구려어-
- 한계 언어 - 백제어 - 통일신라어
- 신라어 -
⑶ 고대 국어 개관
1. 고대 국어의 의사 소통
⑴ 삼국 사이
① 통역에 대한 기록이 없음 ⇒ 세 나라는 의사 소통 가능
② 방언의 차이 정도만 지님
⑵ 계층 간 : 의사 소통 불가능
① 음성 언어(말) : 의사 소통 가능
② 문자 언어(글) : 지배층 - 한자 사용 / 피지배층 - 한자 사용 불가능 ⇒ 새로운 문자 필요 ⇒ 훈민정음 창제
⑶ 국어의 역사를 알려 주는 자료 : 금석문, 삼국지 위지 동이전, 삼국사기, 삼국유사
2. 고대의 국어 생활
1. 한자 차용
- 당시 한글이 없었으므로 한자를 빌려와 표기함
① 고유의 문화 및 전통에 대한 기록의 필요성
② 통치의 수단
2. 한자 차용의 방법
① 음차 : 한자의 의미를 버리고 음만 빌림
예) 可不之馬(까불지마), 美安海(미안해)
② 훈차 : 한자의 음을 버리고 뜻만 빌림
예) 石金(돌쇠)
③ 음차 + 훈자 : 한자의 음과 뜻을 모두 빌림
예) 金天 (김하늘), 之五後(god)
3. 고유 명사의 표기 - 한자 차용
예1) 素那 (휠소, 어찌나) - 소나(음차)
예2) 金川(쇠금, 내천) - 쇠내(훈차)
⇒ ① 두 이름이 동일 인물을 지칭함
② 당시 발음은 素那와 金川, 모두 동일한 발음
이었을 것으로 추정
③ 우리말의 인명이나 지명을 표기하는 데 있어
한자의 음차나 훈자의 방법을 사용
4. 고유 명사의 표기 - 고유어와 한자어의 경쟁
① 신라 경덕왕 때부터 고유어 대신 한자어 사용
② 한자어 사용 이유 :
㉠ 선진 문명의 효과적으로 수용
㉡ 집권층의 효율적인 정치적 도구
예1) 영동군(永同郡)은 본래 길동군(吉同郡)인데 경덕
왕이 이름을 고쳤으며, 지금 이를 그대로 쓰고 있다.
고유어의 우세 ⇒ 고유어와 한자어의 경쟁 ⇒ 한자어의 우세 吉同(길동) - 음차 吉同(길동) - 고유어(음차) 永同(영동) - 한자어 永同(길동) - 훈차 永同(길동) - 고유어(음차) 永同(영동) - 한자어(훈차) 문자 없음(한자 차용) 차자 표기와 한자어의 공존 한자어의 정착 차자 표기 방식 공존 |
⇒ 길동군(吉同郡)에서 영동군(永同郡)으로 변화
① 음차 방식에서 훈차 방식으로 변화
② 차자 표기에서 한자어 자체 사용으로 변화
예2) 새말(신촌), 벌말(평촌), 새재(조령), 한밭(대전)
5. 한자 차용에 의한 우리말 표기 방식
① 이두 : 한문을 우리말 어순으로 바꿈
예) 愛國 ⇒ 國乙愛
② 구결 : 한문으로 쓰고 중간에 우리말의 토를 담
예) 天地之間厓 唯人是 最貴羅(천지지간에 오직 사
람이 가장 귀하다)
6. 종합적인 표기 체계 - 향찰
① 한자의 음과 훈을 이용한 문자
② 실질적 의미(훈) / 문법적 의미(음)
③ 의의
㉠ 한자에 의존하지 않고 순수 국어 문장을 표기
㉡ 국어를 완벽하게 표기하기에는 부족
㉢ 실제 신라인들은 한자로 읽지 않고 우리말로 읽 음
예) 石乙 投多(돌을 던지다), 山伊 高古 花伊 美多(산이 높고 꽃이 예쁘다)
'요점정리 >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상황과 의미 (0) | 2023.04.23 |
---|---|
(요점 정리) 문장의 짜임새 (0) | 2023.04.22 |
(요점 정리) 대화의 정석 (0) | 2023.04.16 |
(요점 정리) 대화의 원리와 예절 (0) | 2023.04.16 |
(요점 정리) 남북한의 언어 (0) | 2023.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