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점정리/문법

(요점 정리) 국어의 탄생

by 기출마스터 2023. 4. 15.
반응형

 

국어의 탄생

 

1. 고대 국어

시기 : 삼국 시대 - 통일신라( - 10세기 이전)

특징 : 신라의 삼국 통일로 경주어 중심, 최초의 언어 통일

 

2. 중세 국어

시기 : 고려 건국 - 임진왜란 전까지(10세기 - 16세기)

특징 : 언어의 중심지가 경주에서 개성으로 이동, 완전한 언어 통일, 우리말의 탄생

구분 : 훈민정음 창제를 기준으로 중세 전기와 중세 후기로 나눔

 

3. 근대 국어

시기 : 임진왜란 후 - 갑오경장(17세기 - 19세기)

특징 : 현대 국어 체계 형성

 

4. 현대 국어

시기 : 갑오경장 후 - 현재(20세기 - )

특징 : 한글 맞춤법 통일안 완성, 언문일치

 

국어의 계통

 

1. 알타이어족

2. 몽골, 만주-퉁구스, 튀르크 어군

3. 공통적 특징

모음조화

두음법칙

수식어 + 피수식어

주어 + 목적어 + 서술어

관사, 전치사, 관계대명사, 성 구별 없음

교착어, 첨가어(어미와 조사의 결합이 가능)

4. 알타이 어족 부여계 언어 고구려어-

 

- 한계 언어 - 백제어 - 통일신라어

- 신라어 -

고대 국어 개관

 

1. 고대 국어의 의사 소통

 

삼국 사이

통역에 대한 기록이 없음 세 나라는 의사 소통 가능

방언의 차이 정도만 지님

계층 간 : 의사 소통 불가능

음성 언어() : 의사 소통 가능

문자 언어() : 지배층 - 한자 사용 / 피지배층 - 한자 사용 불가능 새로운 문자 필요 훈민정음 창제

국어의 역사를 알려 주는 자료 : 금석문, 삼국지 위지 동이전, 삼국사기, 삼국유사

 

2. 고대의 국어 생활

 

1. 한자 차용

- 당시 한글이 없었으므로 한자를 빌려와 표기함

고유의 문화 및 전통에 대한 기록의 필요성

통치의 수단

2. 한자 차용의 방법

음차 : 한자의 의미를 버리고 음만 빌림

) 可不之馬(까불지마), 美安海(미안해)

훈차 : 한자의 음을 버리고 뜻만 빌림

) 石金(돌쇠)

음차 + 훈자 : 한자의 음과 뜻을 모두 빌림

) 金天 (김하늘), 之五後(god)

3. 고유 명사의 표기 - 한자 차용

1) 素那 (휠소, 어찌나) - 소나(음차)

2) 金川(쇠금, 내천) - 쇠내(훈차)

⇒ ① 두 이름이 동일 인물을 지칭함

당시 발음은 素那金川, 모두 동일한 발음

이었을 것으로 추정

우리말의 인명이나 지명을 표기하는 데 있어

한자의 음차나 훈자의 방법을 사용

4. 고유 명사의 표기 - 고유어와 한자어의 경쟁

신라 경덕왕 때부터 고유어 대신 한자어 사용

한자어 사용 이유 :

선진 문명의 효과적으로 수용

집권층의 효율적인 정치적 도구

1) 영동군(永同郡)은 본래 길동군(吉同郡)인데 경덕

왕이 이름을 고쳤으며, 지금 이를 그대로 쓰고 있다.

 

고유어의 우세 고유어와 한자어의 경쟁 한자어의 우세
吉同(길동) - 음차 吉同(길동) - 고유어(음차) 永同(영동) - 한자어
永同(길동) - 훈차 永同(길동) - 고유어(음차)
永同(영동) - 한자어(훈차)
문자 없음(한자 차용) 차자 표기와 한자어의 공존 한자어의 정착
차자 표기 방식 공존

길동군(吉同郡)에서 영동군(永同郡)으로 변화

음차 방식에서 훈차 방식으로 변화

차자 표기에서 한자어 자체 사용으로 변화

2) 새말(신촌), 벌말(평촌), 새재(조령), 한밭(대전)

5. 한자 차용에 의한 우리말 표기 방식

이두 : 한문을 우리말 어순으로 바꿈

) 愛國 國乙愛

구결 : 한문으로 쓰고 중간에 우리말의 토를 담

) 天地之間 唯人 最貴(천지지간에 오직 사

람이 가장 귀하다)

 

6. 종합적인 표기 체계 - 향찰

한자의 음과 훈을 이용한 문자

실질적 의미() / 문법적 의미()

의의

한자에 의존하지 않고 순수 국어 문장을 표기

국어를 완벽하게 표기하기에는 부족

실제 신라인들은 한자로 읽지 않고 우리말로 읽 음

) 石乙 投多(돌을 던지다), 山伊 高古 花伊 美多(산이 높고 꽃이 예쁘다)

 

 

 

 

국어의 탄생.pdf
0.12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