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의 언어
O 남한과 북한의 공통어
➙ 남한의 공통어 : 표준어
➜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의 서울말
➙ 북한의 공통어 : 문화어
➜ 노동 계급에서 사용하는 평양말
O 남북한 언어의 차이
남한 | 북한 | |
발음 | ▪두음 법칙을 인정한다. ▪자음 동화를 인정한다. |
▪두음 법칙을 인정하지 않는다. ▪자음 동화를 인정하지 않는다. |
억양과 어조 | ▪대체로 낮은 억양으로 말한다. ▪부드럽게 흘러가는 자연스러운 느낌이다. |
▪높은 데서 낮은 데로 떨어지는 억양을 반복한다. ▪단어나 어절을 끊어서 말한다. ▪명확하면서 드센 느낌을 준다. |
어휘 | ▪한자어, 외래어를 그대로 사용 | ▪한자어나 외래어를 가급적 고유어로 바꾸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표기 | ▪두음 법칙의 영향을 받는다. ▪의존 명사(이름 뒤 부름말, 칭호)를 띄어 쓴다. |
▪두음 법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의존 명사(이름 뒤 부름말, 칭호)를 붙여 쓴다. |
두음 법칙 : ‘ㄴ’, ‘ㄹ’ 이 단어의 첫머 리 에서 발음되는 것을 꺼 려 다른 소리로 발음되는 일 예) 로인[노인], 녀자[여자], 랭면[냉면], 류형[유형]
자음 동화 : 자음과 자음이 만나서 서로 같거나 비슷한 소리 로 하는 현상 예) 심리[심니], 담력[담녁]
O 남북한 언어 차이 원인
➙ 분단 후 많은 세월이 흐름
➙ 이념, 정치 체계가 다름
➙ 언어 정책이 다름
➙ 남한과 북한 사이의 교류 중단
➙ 지역적 차이로 인한 방언 존재
O 남북한 언어 차이의 문제점
➙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김
➙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음
➜ 서로에 대한 이질감을 느낌 ➜ 동족 의식을 흐리게 해 민족분열이 굳어지게 될 것임(남북 간의 단절 더욱 심화)
O 남북한 언어 차이 극복 방안
➙ 서로의 언어를 이해하도록 노력한다.
➙ 일방적인 우월 의식에서 벗어나 상대방을 인정하고 존중한다.
➙ 서로의 문화를 활발하게 교류해야 함
➙ 어문 규범을 통일해 나가는 작업 (남북 공용 언어사전 제작)
2학년생들
O 갈래 : 방송극
O 성격 : 교훈적, 체재 옹호적
O 구성 : ‘발단-전개-절정-하강-대단원’의 5단계
O 제재 : 돈가방 주운 일 (주인에게 돌려준 일)
O 주제 : 양심을 지키며 살아가는 삶의 아름다움
O 글 속의 남북한 어휘, 표현 차이
북한 | 남한 |
돈가방 | 지갑 |
얼음과자 | 아이스크림 |
일없습네다 | 괜찮습니다 |
물욕 | 욕심 |
사기 나다 | 신 나다 |
어데 | 어디 |
한 이빨도 안 먹었어요 | 한 입도 안 먹었어요 |
O 북한 방송극의 체제 옹호적 성격이 나타난 부분
⌜판매원 : 정말 저런 아이들은 ~
아저씨 : ~ 바로 우리 애들이죠⌟
➜ 방송극을 북한 체제의 우월성을 선전하는 도구로 활용됨을 알 수 있음
O 동무의 의미
➙ 남한 : 늘 친하게 어울리는 사람
➜ 북한의 정치적 이념이 담겨 있음
➙ 북한 : 남을 친근하게 부를 때 쓰는 말
O 남한과 북한의 공통어
➙ 남한의 공통어 : 표준어
➜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의 서울말
➙ 북한의 공통어 : 문화어
➜ 노동 계급에서 사용하는 평양말
O 남북한 언어의 차이
남한 | 북한 | |
발음 | ▪두음 법칙을 인정한다. ▪자음 동화를 인정한다. |
▪두음 법칙을 인정하지 않는다. ▪자음 동화를 인정하지 않는다. |
억양과 어조 | ▪대체로 낮은 억양으로 말한다. ▪부드럽게 흘러가는 자연스러운 느낌이다. |
▪높은 데서 낮은 데로 떨어지는 억양을 반복한다. ▪단어나 어절을 끊어서 말한다. ▪명확하면서 드센 느낌을 준다. |
어휘 | ▪한자어, 외래어를 그대로 사용 | ▪한자어나 외래어를 가급적 고유어로 바꾸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표기 | ▪두음 법칙의 영향을 받는다. ▪의존 명사(이름 뒤 부름말, 칭호)를 띄어 쓴다. |
▪두음 법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의존 명사(이름 뒤 부름말, 칭호)를 붙여 쓴다. |
두음 법칙 : ‘ㄴ’, ‘ㄹ’ 이 단어의 첫머 리 에서 발음되는 것을 꺼 려 다른 소리로 발음되는 일 예) 로인[노인], 녀자[여자], 랭면[냉면], 류형[유형]
자음 동화 : 자음과 자음이 만나서 서로 같거나 비슷한 소리 로 하는 현상 예) 심리[심니], 담력[담녁]
O 남북한 언어 차이 원인
➙ 분단 후 많은 세월이 흐름
➙ 이념, 정치 체계가 다름
➙ 언어 정책이 다름
➙ 남한과 북한 사이의 교류 중단
➙ 지역적 차이로 인한 방언 존재
O 남북한 언어 차이의 문제점
➙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김
➙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음
➜ 서로에 대한 이질감을 느낌 ➜ 동족 의식을 흐리게 해 민족분열이 굳어지게 될 것임(남북 간의 단절 더욱 심화)
O 남북한 언어 차이 극복 방안
➙ 서로의 언어를 이해하도록 노력한다.
➙ 일방적인 우월 의식에서 벗어나 상대방을 인정하고 존중한다.
➙ 서로의 문화를 활발하게 교류해야 함
➙ 어문 규범을 통일해 나가는 작업 (남북 공용 언어사전 제작)
2학년생들
O 갈래 : 방송극
O 성격 : 교훈적, 체재 옹호적
O 구성 : ‘발단-전개-절정-하강-대단원’의 5단계
O 제재 : 돈가방 주운 일 (주인에게 돌려준 일)
O 주제 : 양심을 지키며 살아가는 삶의 아름다움
O 글 속의 남북한 어휘, 표현 차이
북한 | 남한 |
돈가방 | 지갑 |
얼음과자 | 아이스크림 |
일없습네다 | 괜찮습니다 |
물욕 | 욕심 |
사기 나다 | 신 나다 |
어데 | 어디 |
한 이빨도 안 먹었어요 | 한 입도 안 먹었어요 |
O 북한 방송극의 체제 옹호적 성격이 나타난 부분
⌜판매원 : 정말 저런 아이들은 ~
아저씨 : ~ 바로 우리 애들이죠⌟
➜ 방송극을 북한 체제의 우월성을 선전하는 도구로 활용됨을 알 수 있음
O 동무의 의미
➙ 남한 : 늘 친하게 어울리는 사람
➜ 북한의 정치적 이념이 담겨 있음
O 남한과 북한의 공통어
➙ 남한의 공통어 : 표준어
➜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의 서울말
➙ 북한의 공통어 : 문화어
➜ 노동 계급에서 사용하는 평양말
O 남북한 언어의 차이
남한 | 북한 | |
발음 | ▪두음 법칙을 인정한다. ▪자음 동화를 인정한다. |
▪두음 법칙을 인정하지 않는다. ▪자음 동화를 인정하지 않는다. |
억양과 어조 | ▪대체로 낮은 억양으로 말한다. ▪부드럽게 흘러가는 자연스러운 느낌이다. |
▪높은 데서 낮은 데로 떨어지는 억양을 반복한다. ▪단어나 어절을 끊어서 말한다. ▪명확하면서 드센 느낌을 준다. |
어휘 | ▪한자어, 외래어를 그대로 사용 | ▪한자어나 외래어를 가급적 고유어로 바꾸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표기 | ▪두음 법칙의 영향을 받는다. ▪의존 명사(이름 뒤 부름말, 칭호)를 띄어 쓴다. |
▪두음 법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의존 명사(이름 뒤 부름말, 칭호)를 붙여 쓴다. |
두음 법칙 : ‘ㄴ’, ‘ㄹ’ 이 단어의 첫머 리 에서 발음되는 것을 꺼 려 다른 소리로 발음되는 일 예) 로인[노인], 녀자[여자], 랭면[냉면], 류형[유형]
자음 동화 : 자음과 자음이 만나서 서로 같거나 비슷한 소리 로 하는 현상 예) 심리[심니], 담력[담녁]
O 남북한 언어 차이 원인
➙ 분단 후 많은 세월이 흐름
➙ 이념, 정치 체계가 다름
➙ 언어 정책이 다름
➙ 남한과 북한 사이의 교류 중단
➙ 지역적 차이로 인한 방언 존재
O 남북한 언어 차이의 문제점
➙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김
➙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음
➜ 서로에 대한 이질감을 느낌 ➜ 동족 의식을 흐리게 해 민족분열이 굳어지게 될 것임(남북 간의 단절 더욱 심화)
O 남북한 언어 차이 극복 방안
➙ 서로의 언어를 이해하도록 노력한다.
➙ 일방적인 우월 의식에서 벗어나 상대방을 인정하고 존중한다.
➙ 서로의 문화를 활발하게 교류해야 함
➙ 어문 규범을 통일해 나가는 작업 (남북 공용 언어사전 제작)
2학년생들
O 갈래 : 방송극
O 성격 : 교훈적, 체재 옹호적
O 구성 : ‘발단-전개-절정-하강-대단원’의 5단계
O 제재 : 돈가방 주운 일 (주인에게 돌려준 일)
O 주제 : 양심을 지키며 살아가는 삶의 아름다움
O 글 속의 남북한 어휘, 표현 차이
북한 | 남한 |
돈가방 | 지갑 |
얼음과자 | 아이스크림 |
일없습네다 | 괜찮습니다 |
물욕 | 욕심 |
사기 나다 | 신 나다 |
어데 | 어디 |
한 이빨도 안 먹었어요 | 한 입도 안 먹었어요 |
O 북한 방송극의 체제 옹호적 성격이 나타난 부분
⌜판매원 : 정말 저런 아이들은 ~
아저씨 : ~ 바로 우리 애들이죠⌟
➜ 방송극을 북한 체제의 우월성을 선전하는 도구로 활용됨을 알 수 있음
O 동무의 의미
➙ 남한 : 늘 친하게 어울리는 사람
➜ 북한의 정치적 이념이 담겨 있음
'요점정리 >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상황과 의미 (0) | 2023.04.23 |
---|---|
(요점 정리) 문장의 짜임새 (0) | 2023.04.22 |
(요점 정리) 대화의 정석 (0) | 2023.04.16 |
(요점 정리) 대화의 원리와 예절 (0) | 2023.04.16 |
(요점 정리) 국어의 탄생 (0) | 2023.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