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 윤동주
잃어버렸습니다.
-> 상실의 상황
무얼 어디다 잃었는지 몰라
상실의 대상을 알지 못하는 상황
두 손이 주머니를 더듬어
화자가 잃은 것은 원래 화자의 내면에 있던 것임을 암시
길에 나아갑니다.
=> 상실의 인식
돌과 돌이 끝없이 연달아
돌담의 연속성
길은 돌담을 끼고 갑니다.
장애물
=> 길의 공간적 연속성
담은 쇠문을 굳게 닫아
장애물, 통로(이중적 성격)
길 위에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화자의 절망감, 암울한 시대 상황
길은 아침에서 저녁으로
저녁에서 아침으로 통했습니다.
=> 길의 시간적 연속성
=> 상실의 대상을 찾아가는 과정
돌담을 더듬어 눈물짓다
비애감
쳐다보면 하늘은 부끄럽게 푸릅니다.
하늘 => 성찰의 매개체 부끄럽게 => 현실적 자아로서 부끄러움
=> 자아 성찰로 인한 부끄러움
풀 한 포기 없는 이 길을 걷는 것은
담 이쪽의 황폐함(암울한 시대 상황)
담 저쪽에 내가 남아 있는 까닭이고,
화자가 잃은 것(본질적 자아)
내가 사는 것은, 다만
현실적 자아 (본질적 자아와 대조)
잃은 것을 찾는 까닭입니다.
잃어버린 본질적 자아를 회복하고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
=> 잃어버린 자아 회보을 향한 의지
O 갈래 : 자유시, 서정시
O 성격 : 자아 성찰적, 의지적, 상징적, 고백적
O 제재 : 길(일제 강점기)
O 어조 : 차분하면서도 의지적인 어조
O 주제 : 본질적 자아를 찾으려는 내면적 결의
O 특징
① 부정적 의미를 지닌 시구를 통해 암울한 시대 상황을 표현
② ‘길’, ‘돌담’, ‘하늘’ 등의 상징적인 시어를 활용하여 주제를 형상화
③ 길을 걷는 행위를 통해 본질적 자아를 회복하려는 의지를 표현
④ 상대 높임이 드러난 평서형 종결 어미로 고백적 어조를 드러냄
⑤ 반복적인 표현을 통해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냄
O 하늘의 기능
① 화자가 하늘을 보고 부끄러움을 느낌
=> 자아 성찰의 매개체
② 돌담으로 가로막히지 않은 공간
=> 화자가 지향하는 세계
O 시적 화자의 처지
시적 화자는 있어야 할 무언가를 잃어버렸음을 깨닫고 길을 나선다. 하지만 그 길은 끝없이 이어진 돌담이고 심지어 쇠문이 굳건히 가로막고 서 있다. 그 앞에서 시적 화자는 그림자를 늘어뜨린 채 좌절하고 있다. 쇠문으로 굳게 닫힌 문과 그로 인한 긴 그림자는 뭔가 답답하고 암울한 시대적 분위기를 풍기고 있다. 끝없이 이어지는 돌담과 쇠문은 감옥과 같은 현실을 암시하는 것으로 ‘풀 한 포기 없’다는 표현을 통해 살아가기 버거운 부정적 공간임을 알 수 있다. 결국 이 시의 시적 화자의 처지는 일제 강점기 우리 민족의 불행한 처지와 같다.
'요점정리 > 현대 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껍데기는 가라 - 신동엽 (0) | 2023.04.16 |
---|---|
(요점 정리) 깃발 - 유치환 (0) | 2023.04.16 |
(요점 정리) 길 - 김소월 (0) | 2023.04.15 |
(요점 정리) 기념식수 - 이문재 (0) | 2023.04.15 |
(요점 정리) 그 섬에 사람이 있었다 (0) | 2023.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