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달밤
- 두보
이 밤, 부주에도 비친 저 달을
중국 지명(가족이 있는 곳) / 화자와 대상을 이어주는 매개체
아내 혼자 오도카니 보고 있구나
아내와 화자가 떨어져 있음을 암시
=> 수련 : 부주에서 홀로 달을 바라볼 아내의 모습
가엾다. 철부지 어린것들아
두보의 자식들
장안의 아비 생각 어미 마음 제 어찌 알리?
화자가 있는 곳 / 아직 어리기 때문
=> 함련 : 아내를 이해하지 못하는 자식들을 안타깝게 여김
향기로운 밤 안개에 구름 같은 머리 촉촉하고
틀어 올린 머리를 구름에 빗대어 미화한 표현
맑은 달빛에 옥 같은 팔이 싸늘하구나
매끈한 여인의 팔을 옥에 빗대어 미화한 표현
=> 경련 : 아름다운 자연과 어울리는 고운 아내의 모습
어느 제나 나란히 창에 기대어
두 얼굴 눈물 없이 달에 부취나?
훗날 서로 만나 위로하며 같이 바라볼 달
=> 다시 만날 날이 언제 올 수 있을지 탄식함
달밤 | |
갈래 | 한시, 오언율시 |
성격 | 서정적 |
주제 | 헤어진 가족에 대한 그리움 |
특징 | 화자가 가족을 그리워하는 정서가 잘 드러남. 가족에 대한 걱정과 그리움에 정제된 형식으로 표현됨. ‘달’이 그리움을 심화시키는 소재로 사용됨. |
O ‘달밤’에 나타난 대구적 표현
5~6구에서의 대구적 표현이 두드러짐. 5구의 향무 (香舞)와 6구의 청휘(淸輝)에서는 아름다운 자연의 모 습을 제시하고 있음. 5구의 운환(雲鬟), 6구의 옥비 (玉臂)를 통해 고운 아내의 모습을 표현함.
습(濕), 한(寒)에서는 촉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차가 운 밤기운 아래 밤이슬에 젖어 싸늘해졌을 아내의 모 습을 상상하고 있음.
반응형
'요점정리 > 외국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양심을 좇아 살아온 길 - 간디 (0) | 2023.04.26 |
---|---|
(요점 정리) 아름다워라 청춘이여 (0) | 2023.04.24 |
(요점 정리) 수선화 - 워즈워스 (0) | 2023.04.24 |
(요점 정리) 밤에는 쥐들도 잠을 잔단다 (0) | 2023.04.22 |
(요점 정리) 나무를 심은 사람 – 장 지오노 (0) | 2023.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