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점정리/고전 운문

(요점 정리) 병산육곡 - 권구

by 세모답 2023. 4. 23.
반응형

 

 

병산육곡

권구

 

 

부귀(富貴)라 구()치 말고 빈천(貧賤)이라 염()치 말라

부귀만 추구하지 말고 빈천이라고 너무 싫어하지 마라. (대구와 대조, 삶의 태도)

 

인생백년(人生百年)이 한가(閑暇)할사 사니 이 내 것이

인생 백 년을 한가하게 살고자 하는 것이 내 마음이니

 

백구(白鷗)야 날지 말아 너와 망기(忘機)하오리다.

백구야! 날아가지 마라, 너와 더불어 살면서 (속세를)잊고 살고싶구나.

속세를 잊고서 자연과 더불어 살고자 하는 물아일체의 경지

 

1곡 주제 : 속세를 잊고 자연과 더불어 살고자 하는 마음

 

 

천심절벽(千尋絶壁) 섯난 아래 일대장강(一帶長江) 흘너 간다

천길낭떠러지 = 높은 절벽이 있는 아래 한 줄기 긴 강이 흘러간다.

(수직과 수평이미지를 통한 공간 묘사.) -> 선경

 

백구(白鷗)로 버즐 삼아 어조생애(漁釣生涯) 늘거 가니

갈매기를 벗 삼고서, 낚시 하는 일로 늘거가니 (유유자적(悠悠自適))

백구: 화자가 긍정적 가치를 부여하는 대상으로, 고전 시가에서 '무심한 백구'는 사심이없는 순진무구한 자연물을 표상함

 

두어라 세간소식(世間消息) 나난 몰나 하노라.

두어라! 세상 소식 나는 모르고 살아가고 싶구나. -> 후정

화자가 겉으로 드러나 내면을 드러내고 있음

 

2곡 주제 : 속세를 벗어나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탈속적 유유자적)

 

 

보리밥과 생채(生菜)를 양()마촤 먹은 후에

보리밥과 생나물을 알맞게 맞춰 먹은 뒤에

(보리밥과 생채: 단사표음(簞食瓢飮)안분지족의 정신)

 

모재(茅齋)를 다시 쓸고 북창(北窓下)에 누엇시니

띠집=초가집을 다시 쓸고 북쪽 창(화자의 신분이 양반임) 아래 누었으니

 

눈 압해 태공(太空) 행운(行雲)이 오락가락 하놋다.

눈 앞 창공에 구름(객관적 상관물-크고 빈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 = 화자의 한가로운 삶)이 오고가고 하는구나

 

3곡 주제 : 욕심없는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삶

 

 

공산리(空山裏) 저 가난 달에 혼자 우난 저 두견(杜鵑)

빈 산속에서 저기 흘러가는 달을 보고 홀로 우는 저 두견새야. (우는 두견: 감정이입, 연민, 화자와 동일시 대상) 시각과 청각적 이미지-> 애상적 분위기

 

 

 

 

 

 

 

낙화(落花) 광풍(狂風)에 어나 가지 의지하리

꽃잎 지게 하는 매서운 바람 부니 어떤 가지를 의지 할까. (낙화광풍: 영남남인들의 몰락사건을 상징=환해풍파) .설의적 표현으로 대상의 처지 드러냄. 은유

 

백조(百鳥)야 한()하지 말라 내곳 설워 하노라.

온갖 새들(뜻을 같이하는 동료들)아 한탄하지 마라. 내 또한 서러워하노라.

화자가 직접 등장하여 내면을 드러내고 있음.

 

4곡 주제 : 힘든 위기를 맞은(영남 남인들의 몰락사건에 대한) 서글픔

 

 

가막이 즛지 말아 이 가막이 죳지 말아

저 까마귀(간신, 부정적대상)! 울지마라, 이 까마귀 따르지마라.

(대구적)

 

야림(野林) 한연(寒烟)날은 죠차 저물거날

숲속은 차가운 안개 와 더불어 날마저 저물어가니(설상가상의 상황)

(야림 한연: 화자가 살고 있는 자연 공간)

 

어엿불사 편편(翩翩) 고봉(孤鳳)이 갈 바 업서 하낫다.

󰀲불쌍=안타깝구나! 펄펄 나는 외로운 봉황(까마귀와 대조=화자자신)이 갈 곳이 없구나.(삶의 지향성을 상실한 상황속에서도 까마귀들을 비판하고 그들의 삶을 따르지 말라고 주장함.

 

5곡주제: 시련을 맞아(영남 남인 몰락 사건 속에 화자의) 외로운 처지

 

 

서산(西山)에 해 저 간다 고깃배 떳단 말가

서산에 해가 다 저물어 가는데 고깃배가 떴다는 말인가.

 

죽간(竹竿)을 둘너 뫼고 십리(十里) 장사(長沙) 나려 가니

대나무 장대=낚시대를 둘러매고 십 리나 되는 긴 모래밭으로 내려가니

 

연화(煙花)수삼어촌(數三漁村)무릉(武陵)인가 하노라.

안개가 꽃처럼 피어오르는 어촌이 바로 무릉도원(자신의 삶의 공간을 무릉이라 칭하며 만족스러워하고 있음)인가 하노라

 

6곡주제 : 만족스러운 어촌에서의 삶에 대한 자부심

 

 

O 성격 : 자연친화적, 예찬적

O 주제 : 자연 속에서의 화자의 안빈낙도의 삶

O 표현상의 특징 : 속세와 자연의 대비, 대구적 표현과

설의적 표현

O 배경지식 : 영남 남인들의 몰락 사건을 경험한 후 세 상사를 멀리하고 자연속에서 안분지족하는 사대부의 삶을 노래한 작품 (반영론적 해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