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점정리/현대 운문

(요점 정리) 접동새 - 김소월

by 세모답 2023. 4. 28.
반응형

 

접동새

김소월

접동

한의 표상(접동새의 행위-시인 내면에 잠재한 상실 의식)

접동

접동새와 주인공을 동일화

아우래비 접동

접동새의 울음을 실감나게 의성법으로 표현

아홉오라비라는 의미(활음조)

A-A-B-A 구조

=>접동새 울음 소리

진두강 가람가에 살던 누나는

구체적 지명/ 의 옛말

진두강 앞 마을에

 

와서 웁니다.

동생이 걱정되어

=> 진두강 강가에서 우는 접동새

옛날, 우리 나라

민담의 소재

먼 뒤쪽의

 

진두강 가람가에 살던 누나는

 

의붓어미 시샘에 죽었습니다.

누나의 비극성을 간결하게 처리함

=> 의붓어미 시샘에 죽은 누나

누나라고 불러 보랴

보려고 해도

오오 불서러워

너무 서러워(평안도 방언)

시샘에 죽은 우리 누나

보편적 대상으로 확장

죽어서 접동새가 되었습니다.

원한을 품은 넋은 짐승이 되어 이승을 방황한다는 민속 신앙

=> 죽어서 접동새가 된 누나

아홉이나 남아 되든 오랩동생

남동생

죽어서도 못 잊어 차마 못 잊어

뜨거운 육친애

야삼경 남 다 자는 밤이 깊으면

11시에서 새벽 1시 사이

이 산 저 산 옮아가며 슬피 웁니다

죽어서도 계모를 피해 다녀야 하는 누이의 한

=> 죽어서도 동생들을 못 잊어 슬피 우는 누나

 

 

 

O 핵심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전통적, 애상적,
민요적, 향토적
주제 죽어서도 잊지 못하는 애절한 혈육의 정한
특징 설화에서 시적 모티프를 차용함.
7·5를 바탕으로 한 3음보민요적 율격을 사용함.

 

 

O ‘접동새의 화자

 

2연과 4연에서 화자는 설화 속 죽은 누이의 남동생 으로 설정되어 있음.

3연에서는 옛날, 우리나라라는 진술로 볼 때 화자 가 현대인으로 바뀌어 있음.

이 시에서 노래하는 한은 죽은 누이와 그 동생들만 이 아니라 민족의 보편적인 정서라는 점을 알 수 있 음.

 

 

 

 

접동새 - 김소월.pdf
0.12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