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석가
딩아 돌하 당금에 계샹이다
정경이라는 악기에 인우하여 언정의 대상아니 ;정석‘를 나타냄
딩아 돌하 당금에 계샹이다.
션왕셩ᄃᆞㅣ에 노니ᄋᆞ와지이다.
놀고 싶습니다
=> 서사 : 태평성대를 바람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ᄂᆞᆫ
바삭바삭한. 의성어 악률을 맞추기 위한 조음구, 여음구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ᄂᆞᆫ
가는 모래 벼랑에
구은밤 닷 되를 심고이다.
그 바미 우미 도다 삭나거시아
움이 돋아 싹이 나야만
그 바미 우미 도다 삭나거시아
유덕ᄒᆞ신 님을 여ᄒᆞㅣᄋᆞ와지이다.
반어적 표현, 이별하고 싶지 않다는 의미
=>본사 1 :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의 기원①
옥으로 련ㅅ고즐 사교이다
연꽃을 새깁니다
옥으로 련ㅅ고즐 사교이다
바회 우희 졉듀ᄒᆞ요이다.
바위 접을 붙입니다
그 고지 삼동이 퓌거시아
피시어야, 피어야
그 고지 삼동이 퓌거시아
세 묶음이
유덕ᄒᆞ신 님 여ᄒᆞㅣᄋᆞ와지이다.
=> 본사 2 :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 기원②
므쇠로 텰릭을 ᄆᆞᆯ아 나ᄂᆞᆫ
무쇠 재단하여
므쇠로 텰릭을 ᄆᆞᆯ아 나ᄂᆞᆫ
옛 무관이 입던 관복의 하나
텰ᄉᆞ로 주롬 바고이다
철사로 주름을 박습니다
그 오시 다 헐어시아
옷이 헐어져야
그 오시 다 헐어시아
유덕ᄒᆞ신 님 여ᄒᆞㅣᄋᆞ와지이다.
=> 본사 3 :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 기원③
므쇠로 한쇼를 디여다가
무쇠로
므쇠로 한쇼를 디여다가
텰슈산애 노호이다
놓습니다
그 쇼ㅣ 텰초를 머거아
먹어야만
그 쇼ㅣ 텰초를 머거아
유덕ᄒᆞ신 님 여ᄒᆞㅣᄋᆞ와지이다.
=> 본사 3 :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 기원④
구스리 바회예 디신ᄃᆞᆯ
사랑 시련을 겪음
구스리 바회예 디신ᄃᆞᆯ
긴힛ᄃᆞᆫ 그츠리잇가
끈, 믿음
즈믄 ᄒᆞㅣ를 외오곰 녀신ᄃᆞᆯ
천 년을
즈믄 ᄒᆞㅣ를 외오곰 녀신ᄃᆞᆯ
신잇ᄃᆞᆫ 그츠리잇가
=> 결사 :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과 믿음
O 갈래 : 고려 속요
O 성격 : 서정적, 민요적
O 제재 : 임에 대한 사랑
O 주제
➀ 임(임금)에 대한 영원한 사랑
➁ 태평성대의 기원
O 특징
➀ 이별과 향락의 정서를 노래한 대부분의 고려 속요
와 달리,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을 노래함.
➁ 불가능한 상황을 전제로 시상을 전개하는 기발한
발상이 돋보임
➂ 과장법, 역설법, 반어법 등 다양한 표현법을 사용함
➃ 3음보, 전반적으로 3‧3‧4조의 운율을 가짐
⑤ 본사에서 ‘제재->가정->행위->현실적 상황->소망’
의 구조를 반복함
O 이별의 조건과 화자의 마음
연 | 제재 | 상황 |
2 | 구운 밤 | 싹이 나면 |
3 | 옥 연꽃 | 세 묶음이 피면 |
4 | 무쇠 옷 | 다 헐면 |
5 | 무쇠 소 | 쇠로 된 풀을 다 먹으면 |
=> 불가능한 상황을 전제하고 그것이 충족되었을 때 임
과 이별하겠다고 함으로써 절대로 임과 이별하지 않겠
다는 시적 화자의 본심을 드러내고 있음
O ‘정석가’와 ‘서경별곡’의 유사성
=> ‘정석가’의 6연과 ‘서경별곡’의 2연이 거의 유사함
① 당시 널리 유행한 관용적 표현
② 혹은 구전 과정에서 첨삭‧중복
'요점정리 > 고전 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제망매가 - 월명사 (0) | 2023.04.28 |
---|---|
(요점 정리) 정읍사 (0) | 2023.04.28 |
(요점 정리) 절명시 - 황현 (0) | 2023.04.28 |
(요점 정리) 잠노래 (0) | 2023.04.28 |
(요점 정리) 용비어천가 (0) | 202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