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점정리/현대 운문

(요점 정리)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이상화

by 세모답 2023. 5. 3.
반응형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

- 계절 조국의 광복

지금은 남의 땅 빼앗길 에도 은 오는가?

국권을 빼앗긴 상황 국토(대유법)

=> 1: 들을 빼앗긴 현실 인식(질문)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들이 맞붙은 곳으로

희망의 세계, 자유로운 공간, 광복을 이룬 조국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좁고 길게 난 논길 (향토적) 황홀함

=> 2: 아름다운 봄 경치에 이끌림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국권을 빼앗긴 현실에 대한 답답한 심정 표출

내 맘에는 내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끌었는냐 누가 부르더냐 답다워라 말을 해 다오

=> 3: 침묵하는 조국에 대한 답답함

바람은 내 귀에 속삭이며

싱그러운 봄바람이 불어옴(의인법)

한 자국도 섰지 마라 옷자락을 흔들고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에 아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종다리를 순박하고 친밀한 이미지인 아씨;에 빗대고 의인화함

웃네

 

 

고맙게 잘 자란 보림밭아

변함 없는 대지의 생명력에 대한 고마움(의인법)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던 고운 비

땅에 생기를 주기 때문에 곱다고 표현함

너는 삼단 같은 머리를 감았구나 내 머리조차 가뿐하

국토에 대한 애정을 여성적 이미지로 나타냄 / 자연에 동화된 화자

.

 

 

혼자라도 가쁘게나 가자

혼자라도 기꺼이 광복을 위해 나아가겠다는 의지

마른 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마른 논에 물을 공급해 주기 때문에 착하다고 표현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 제 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

도랑이 흐르는 소리와 모습

=> 4~ 6: 봄을 맞이한 국토의 활기찬 모습

 

나비 제비야 깝치지 마라

 

맨드라미 들마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기름을 바른 이가 지심매던 그 들이라 다 보

전통적인 한국 여인의 이미지 국토에 대한 애정

싶다

 

 

내 손에 호미를 쥐어 다오

 

살찐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

국토의 풍요로움을 모성적 이미지로 나타냄

발목이 시도록 밟아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 7~ 8: 국토에 대한 애정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

앞에 시련이 있는지 없는지 알지 못하는 아이에 시적 화자를 비유함

도 모르고 끝도 없이 닫는 내 혼아

현재의 상황이나 형편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가느냐 우스웁다 답을 하려무나

식민지 현실에 대한 허탈감으로 인한 자조적인 웃음

=> 9: 현실에 대한 재인식

 

나는 온몽에 풋내를 띠고

하루 종일 봄의 들판을 다녀서 국토의 자연과 동화됨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로

봄이 온 들판에서 느끼는 즐거움(청각의 시각화)

푸른 설움 국권 상실의 비애 (역설법)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지폈나

정서적 불균형으로 인한 내면의 갈등을 동작으로 형상화함

보다

봄 신령에게 홀렸나 보다

=> 10: 감정의 혼란

 

그러나 지금은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시상의 전환

=> 11: 절망적 현실 인식

 

 

O 갈래 : 자유시, 서정시

O 성격 : 상징적, 낭만적, 저항적

O 제재 : 빼앗긴 땅에 찾아온 봄

O 주제 : 국권(국토) 상실의 비극적 현실

O 특징 :

대칭 구조를 통해 시적 화자의 의식과 태도의 변화 과정을 드러냄

향토적 소재를 사용하여 국권 회복의 염원을 서정 적으로 그리고 있음

 

O ‘질문-대답형식의 수미 상관 구성

시적 의미 강조

시적 안정감 형성

리듬감 형성

여운 형성

 

O 시적 화자의 정서 및 태도

1 국원()을 빼앗긴 조국의 현실을 인식하고 절망함
2~3 봄을 맞아 기쁘지만 국권 상실의 현실이 답답함
4~8 봄을 맞아 즐거워하며 국토에 애정을 보임
9~10 국권 상실의 현실을 재인식하며 감정의 혼란을 느낌
11 국권을 빼앗긴 조국의 현실을 재확인하며 절망이 깊어짐

 

 

 

 

3-2-1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이상화.pdf
0.14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