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화상
윤동주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외딴 : 억압적 현실 상황을 반영. 우물은 현실의 저 먼 곳에 존재한다는 의미 / 우물 : 자아 성찰의 매개체. 나의 과거와 현재를 비추어주는 매개체. 거울의 이미지
가만히 들여다봅니다.
객관적으로 자신을 성찰하는 태도 / 자아 성찰
=> 1연 : 우물을 찾아감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
공감각적 심상 → 촉각의 시각화 (시적 허용)
※ 우물에 비친 아름다운 풍경. 밝고 평화로운 자연의 세계. 화자가 꿈꾸는 세계의 모습. ↔ 화자의 모습과 대조적
=> 2연 : 아름다운 우물 속의 정경
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
화자 자신. 현실적 자아이자 부정적 자아
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식민지 현실에 안주하는 자신(현실적 자아)에 대한 미움
=> 3연 ; 자아에 대한 미움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엾어집니다.
식민지 현실을 살 수밖에 없는 자신에 대한 연민
도로 가 들여다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
=> 4연 : 자아에 대한 연민
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집니다.
순수했던 옛 모습(이상적 자아)에 대한 그리움
=> 5연 : 자아에 대한 애증 교차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고 추억(追憶)처럼 사나이
가 있습니다.
우물에 비친 현재의 모습에서 추억 속의 자신의 모습을 발견 = 현실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의 화해 시도. 초라한 현실적 자아 속에서 자신이 그리워하는 이상적 자아를 발견하고자 하는 것.
→ 이상적 자아의 모습을 그려봄으로써, 두 자아의 갈등을 극복하고자 함
=> 6연 : 추억 속의 자아에 대한 그리움
O 갈래 : 자유시, 서정시
O 성격 : 성찰적, 고백적
O 어조 : 고백적 어조, ‘~습니다’와 같은 여성적 분위기 의 경어체 사용
O 주제 : 자아 성찰과 자신에 대한 애증
O 특징 :
➀ 평이한 구어체 사용
➁ 산문적 표현
➂ 수미상관 구성 : 2연을 반복
O 화자의 심리 변화
미움 → 가엾음(자기 연민) → 미움 → 그리움
O 일종의 변증법적 구조
우물 속의 자기 자신(한 사나이)을 바라보며 부정과 긍정을 거듭하다가 화합에 이름
O ‘우물’의 기능 : 자아 성찰의 매개체
- 현상적 자아 : 우물에 비친 모습
- 반성적 자아 : 우물에 비친 자신을 바라보는 나
'요점정리 > 현대 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극빈 - 문태준 (0) | 2023.05.03 |
---|---|
(요점 정리) 구두 한 켤레의 시 - 곽재구 (0) | 2023.05.03 |
(요점 정리)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이상화 (0) | 2023.05.03 |
(요점 정리) 쉽게 씌어진 시 - 윤동주 (0) | 2023.05.03 |
(요점 정리) 배를 매며 - 장석남 (0) | 2023.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