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양주 별산대놀이
O 갈래 : 가면극(탈춤) 대본
O 성격 : 풍자적, 해학적, 골계적
O 제재 : 파계승과 양반, 서민의 생활상
O 주제 : 양반에 대한 조롱과 풍자
O 특징 :
① 익살스럽고 과장된 표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② 널찍한 마당에서 무대 장치 없이 공간을 자유롭게 설정하고 있다.
③ 전체 8과장으로. 각 과장은 다른 과장과 관련 없이 독립적이다.
O 해제 : 이 작품은 경기도 양주 지방에서 전승되어 온 전통 가면극으로 전체 8과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파계승에 대한 풍자, 양반에 대한 풍자, 서민 생활의 애환 등을 담고 있다.
O 이 작품의 전체 구성
제1과장 상좌춤 |
[중 마당] 표면적으로는 승려들의 파계상을 다양하게 보여 주며 풍자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인간의 내면에 감추어진 신명을 노래와 춤으로 발산시킴으로써 정서적 쾌락을 체험하게 함 |
제2과장 옴중과 상좌 |
|
제3과장 옴중과 먹중 |
|
제4과장 연잎과 눈끔쩍이 |
|
제5과장 팔먹중 놀이 |
|
제6과장 노장 |
|
제7과장 샌님 |
[양반 마당] 양반의 위선을 폭로하고, 포도부장과 양반의 대결을 통해 새로운 시대가 왔음을 보여 줌. |
제8과장 신할아비와 미얄할미 |
[할미 마당] 남성과 여성의 대립과 갈등 및 서민의 생활상을 드러내고 굿의 흔적을 보여 줌. |
O 등장 안물의 관계도
상전과 하인의관계이지만, 샌님이 말뚝이에게 조롱을 당함 | 샌님 | 신분상 샌님이 쇠뚝이보다 위지만, 쇠뚝이가 샌님을 모욕하고 조롱함 | ||
말뚝이 | 쇠뚝이 | |||
친구 관계로, 함께 양반을 놀리고 양반의 부도덕함을 폭로함 |
O 이 작품에 담긴 의식
지배 계층에 대한 풍자 | 지배 계층에 대한 저항 | 서민 생활의 애환 |
당시 어리석고 무능한 양반과 파계승을 비하하고 조롱함. | 부조리한 지배계층에 대한 서민들의 비판 의식을 드러냄. | 처첩 사이의 갈등 이나 남성의 부당한 횡포 등을 고발함. |
O 가면극의 특징
구성 | 각 과장이 각기 주제를 가지고 독립적으로 구성됨(옴니버스식 구성). |
시ㆍ공간 | • 극중 시ㆍ공간을 자유롭게 선택함. • 극중 시ㆍ공간과 공연 현장의 시ㆍ 공간이 구별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
관객 | 공연 중에 능동적으로 참여함. |
무대 | 특정한 무대나 무대 장치가 필요 없음. |
O 풍자성과 해학성
픙자성 | 어리석고 부패한 양반층을 풍자함으로써 서민들의 비판 정신을 드러냄 |
해학성 | 서민들의 비속한 일상어를 바탕으로 한 익살과 과장된 표현을 사용하여 골계미를 유발함 |
반응형
'요점정리 > 고전 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연행가 - 홍순학 (0) | 2023.05.05 |
---|---|
(요점 정리) 홍계월전 (0) | 2023.05.05 |
(요점 정리) 만무방 - 김유정 (0) | 2023.05.03 |
(요점 정리) 숙영낭자전 (0) | 2023.05.03 |
(요점 정리) 산정무한 - 정비석 (0) | 2023.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