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점정리/비문학

(요점 정리) 교술 갈래의 흐름

by 답지책방 2023. 5. 9.
반응형

4-4-0 교술 갈래의 흐름.pdf
0.08MB

 

 

 

 

교술 갈래의 흐름

 

O 교술 갈래

개념 외부 대상에 대한 관심과 사색을 바탕으로 성찰하는 문학 양식
역사적
갈래
한문 수필류(, 기 등), 악장, 일기, 서간, 기행, 현대 수필 등

 

O 교술 갈래의 흐름

삼국
시대
시초 광개토 대왕 비문이나 상진평왕서등의 산문
한문
수필
임금에 대한 충언, 사회 현안이나 외교와 관련된 것, 기행문 등
고려
시대
사물의 능력을 삶의 철학과 연결함
경기
체가
사물을 열거하면서 인물들의 득의양양한 감흥을 드러냄
조선
전기
악장 조선의 건국 이념을 드러냄
한문
수필
꾸준히 창작됨. 일기 형식의 사행 문학도 있음
조선
후기
국문
수필
주요 영역을 차지함. 궁중 비사, 여성의 가정생활 등을 소재로 함
옛 국문 편지, 국내의 명승지 유람가사, 사신으로 갔다 온 후에 지은 가사 등
개화기 논설이나 기행이 주를 이루며 개화나 계몽의 내용을 담음
1920
년대
수필이 본격적으로 정착됨
수필에 대한 이론적 추구와 형식적 탐구가 이루어짐
해방 이후 본격적인 수필집이 발간됨
1960
년대
이후
다양한 제재의 수필이 창작됨
문예지와 수필 전문지의 창간을 통해 수필이 양적·질적으로 성장함
시인이 쓴 수필집도 대중의 관심을 받음
1990
년대
이후
인터넷의 보급과 발달로 저변을 확대하며 양적 팽창을 보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