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극 갈래의 흐름
고대 | 굿, 놀이 연극이 복합된 형태 신라 : 가무백희, 탈춤, 처용무 등 |
고려 시대 |
가무백희, 꼭두각시놀음, 탈춤 등 나라의 안녕을 꾀하고 재앙을 물리치려는 목적으로 행해짐 |
조선 전기 |
소학지희, 꼭두각시놀음, 탈춤 등 |
조선 후기 |
어느 때보다 민속극이 활발히 행해짐 굿, 탈춤, 꼭두각시놀음, 발탈 등 |
개화기 | 민속극의 쇠퇴 및 창극, 신파극 등의 다양한 시도 |
1920 년대 |
근대극 정립 노력 초창기 영화 제작 |
1930 년대 |
본격적인 근대극 운동 전개 현실 문제를 다룬 작품, 프로 문학 창작극 발표 |
해방 이후 1950 년대 |
전후 현실을 그린 작품, 전통적 가치관의 붕괴와 세대 간의 갈등을 그린 작품 창작 |
1960 년대 이후 |
서사극, 부조리극의 본격적 도입, 실험적 방법 시도 다양한 주제 확산 |
1970 년대 이후 |
전통 연희를 계승한 마당극 등장 영상 매체의 발달로 인한 드라마 대본과 시나리오의 활발한 창작 |
반응형
'요점정리 > 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우리 말과 글의 역사와 변화 (0) | 2023.05.13 |
---|---|
(요점 정리) 교술 갈래의 흐름 (0) | 2023.05.09 |
(요점 정리) 서사 갈래의 흐름 (0) | 2023.05.09 |
(요점 정리) 서정 갈래의 흐름 (0) | 2023.05.09 |
(요점 정리) 세종어제훈민정음 (0) | 202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