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 말과 글의 역사와 변화
O 갈래 : 설명문
O 성격 : 분석적, 설명적
O 제재 : 우리 말과 글의 역사와 변화
O 주제 : 국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한다
O 특징 :
➀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차이점을 비교함
➁ 다양한 예시를 들어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함
O 이 글의 짜임
처음 | 언어의 옛 모습과 변화를 알려 주는 문자 |
중간 | 문자 ‘훈민정음’을 통해 알 수 있는 국어의 변화와 중세 국어의 모습 |
끝 |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비교를 통한 국어의 흐름 탐구 |
O 국어의 시대 구분
고대 국어 | 고려 건국 이전 |
중세 국어 | 전기 : 고려 건국 ~ 14세기 후기 : 15 ~ 16세기 |
근대 국어 | 17 ~ 19세기 |
현대 국어 | 20세기 ~ 현재 |
O 언어 변화의 이유와 양상
이유 | 발음을 쉽게 하려는 경향 언어 자체의 체계성 다른 언어와의 접촉 새로운 문물의 등장 |
양상 | 발음과 음운의 변화 단어의 형태와 의미, 품사의 변화 문법 요소의 변화 |
O 단어의 의미 변화의 양상
- 단어의 의미가 변할 때는 의미 영역이 확장되거나 축소되기도 하고, 전혀 다른 의미로 바뀌기도 한다
양상 | 단어의 예 | 의미 |
확장 | 다리 | 사람·짐승의 다리 -> ‘책상다리’ 등 무생물에게까지 적용됨 |
축소 | 놈 | 사람 -> 남자를 낮추어 부름 |
이동 | 어리다 | 어리석다 ->나이가 어리다 |
O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비교
중세 국어 | 현대 국어 |
단모음 ‘ · ’가 있었음 | ‘ · ’가 사리지고, 대체로 ‘ㅡ/ㅏ’로 바뀜 |
반모음 ‘ㅣ’[j]를 마지막에 갖는 이중 모음이 있었음 (ㅟ,ㅐ,·ㅣ) | ‘ㅟ,ㅐ’는 단모음으로 바뀌고, ‘·ㅣ’는 사라짐 |
‘ㅐ, ㅔ’가 이중 모음이었음 | ‘ㅐ, ㅔ’가 단모음임 |
성조를 방점으로 표시함 | 성조가 없으며, 방점을 사용하지 않음 |
띄어쓰기를 하지 않음 | 어절 단위로 띄어쓰기를 함 |
소리 나는 대로 적음 (이어적기) | 소리나는 대로 적되 단어의 원래 형태를 밝혀 적음 (끊어 적기) |
O 훈민정음의 두 가지 의미
➀ 세종이 만든 우리의 ‘문자’
➁ 문자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서로 만들어진 ‘책’
O 문자 ‘훈민정음’의 우수성
➀ 국어의 말소리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를 통해 만들어짐
➁ 초성의 기본자 (ㄱ,ㄴ,ㅁ,ㅅ,ㅇ)는 발음할 때 발음 기관의 모습을 상형하여 만듦
➂ 기본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초성자는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만듦 (이체자 (ㄹ, ᅀ, ᅌ) 예외
-> 글자의 모양에 소리의 특성이 반영됨
➃ 중성의 기본자(·,ㅡ,ㅣ)는 하늘, 땅, 사람의 모습을 상형하여 만듦
➄ 기본자를 제외한 중성자는 기본자를 합성(· +ㅣ=ㅓ)하거나 합성자를 합용(ㅗ+ㅏ = ㅘ)하여 만듦
➅ 종성자를 별도로 만들지 않고, 초성자를 다시 사용함
➆ 음소 단위의 문자를 초성, 중성, 종성을 합쳐 쓰는 음절 단위로 운용함.
반응형
'요점정리 > 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로봇 시대, 인간의 일 - 구본권 (0) | 2023.05.13 |
---|---|
(요점 정리) 우리 말과 글의 현재, 그리고 미래 (0) | 2023.05.13 |
(요점 정리) 교술 갈래의 흐름 (0) | 2023.05.09 |
(요점 정리) 극 갈래의 흐름 (0) | 2023.05.09 |
(요점 정리) 서사 갈래의 흐름 (0) | 202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