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요점정리/문법30

(요점 정리) 한글의 창제 원리와 특성 한글의 창제 원리와 특성 O 한글 자모의 제자 원리 자음의 제자 원리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 기본자를 만들고 각각 획을 더하는 가획과 글자를 나란히 쓰는 병서의 원리로 만듦. 자음의 기본자 ‘ㄱ’ :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뜸. ‘ㄴ’ : 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양을 본뜸. ‘ㅁ’ : 입의 모양을 본뜸. ‘ㅅ’ : 이의 모양을 본뜸. ‘ㅇ’ : 목구멍의 모양을 본뜸. 모음의 제자 원리 우주의 기본 요소인 삼재(하늘, 땅, 사람)를 상형하여 기본자를 만들고, 초출, 재출, 합용의 원리로 다른 글자를 만듦. 모음의 기본자 ‘.’ : 하늘의 둥근 모양을 본뜸. ‘ㅡ’ : 평평한 땅 모양을 본뜸. ‘ㅣ’ : 서 있는 사람의 모양을 본뜸. O 한글의 제자 원리 ➀ 초성과 중성을 구분하여 각각의 문자를 별도.. 2023. 5. 19.
(요점 정리) 올바른 발음과 표기 올바른 발음과 표기 O 모음의 발음 단모음의 발음 •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는 단모음으로 발음함. • ‘ㅚ, ㅟ’는 단모음이지만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함. 이중 모음의 발음 •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 •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함. 󰃚 가지어→가져[가저], 찌어→쪄[쩌], 다치어→다쳐[다처] •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 발음함. 󰃚 예절[예절], 조례[조례] / 시계[시계/시게](時計), 지혜[지혜/지헤](智慧) •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함. 󰃚 무늬[무니], 희망[히망], 띄어쓰기[띠어쓰기] • 단어의 첫음.. 2023. 5. 19.
(요점 정리) 품사의 종류와 특성 품사의 종류와 특성 O 품사의 개념과 분류 기준 뜻 일정한 기준에 따라 나누어 놓은 단어의 갈래 분류 기준 형태 형태가 변하는 것(가변어)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것(불변어) 기능 문장 속에서 단어가 어떤 역할을 하느냐 의미 어떤 공통된 의미가 있느냐 O 우리말의 품사 체계 형태 기능 의미 예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 (불변어) 체언 명사 국어, 행복, 의자, 서울 대명사 나, 누구, 우리, 이것 수사 첫째, 둘째, 하나, 일 수식언 관형사 새, 헌, 옛, 온갖 부사 빨리, 살며시, 늘, 매우 독립언 감탄사 예, 아니요, 어머나, 이봐 관계언 조사 이/가, 을/를, 와/과, 의, 도 형태가 변하는 단어 (가변어) 이다 용언 동사 뛰다, 웃다, 앉다 형용사 희다, 싱겁다, 귀엽다 O 품사의 종류와 특성 (1).. 2023. 5. 17.
(요점 정리) 언어의 본질 언어의 본질 O 언어 - 언어는 내용(뜻)과 형식(말소리)이 결합하여 이루어 짐 O 언어의 본질 언어의 자의성 ·말소리와 의미의 관계는 자의적임 ·말소리와 의미의 결합은 우연히 그렇게 결정된 것일 뿐, 필연적인 것이 아님 예) 나비(한국), 파르팔라(이탈리아) 멍멍(한국), 바우와우(미국) 언어의 사회성 ·말소리와 의미의 관계는 사회적으로 약속 된 것임 ·언어를 개인이 마음대로 바꾼다면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 할 수 없게 됨 예) 성호 : 수박을 앞으로 ‘몽이’라고 부르 겠어. 엄마, 몽미가 먹고 싶어요. 엄마 : 뭐라고? 그게 무슨 소리냐? 언어의 역사성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말이 생기거 나, 쓰이던 말이 없어지기도 하고, 말의 소 리나 형태, 의미가 변하기도 함 • 사라진 말 : 온(백), 즈.. 2023.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