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점정리/고전 운문

(요점 정리) 가시리

by 답지책방 2023. 4. 12.
반응형

 

 

가시리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는

율격을 맞추고 흥을 돋우기 위해 넣은 어구(여음구, 조흥구)

버리고 가시리잇고 나는

버리고 가시렵니까 -> 반복으로 화자의 안타까움과 간절함 강조

위 증즐가 대평성대

율격을 맞추기 위해 넣은 의미 없는 후렴구(여음구, 조흥구, 후렴구),

궁중 음악으로 사용된 흔적

=> : 이별에 대한 안타까움

날러는 어찌 살라 하고

나는

버리고 가시리잇고 나는

 

위 증즐가 대평성대

=> : 떠나는 임에 대한 원망

 

잡사와 두어리마나는

붙잡아

선하면 아니 올세라

서운하면, 귀찮게 하면 / 오지 않을까 두렵습니다.

위 증즐가 대평성대

=> : 어쩔 수 없이 이별을 받아들임(체념)

 

설온 님 보내옵나니 나는

나를 서럽게 하는 임 이별을 서러워하는 임

가시는 듯 돌아오소서 나는

가시자마자

위 증즐가 대평성대

=> : 임이 다시 돌아오기를 기원함

 

O 갈래 : 고려 가요(고려속요)

O 성격 : 서정적, 전통적, 민요적, 애상적

O 구성 : ---

O 운율 : 외형률 (3·3·2, 3음보)

O 제재 : 이별

O 주제 : 이별의 정한, 임과의 이별에 대한 안타까움과

재회의 소망

 

 

 

 

O 고려 가요의 특징

개념 고려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로, 고려 속요, 여요, 장가 등으로 불림
작가 대부분이 작자 미상임
형식 3·3·2, 3음보의 율격, 대부분이 분절체, 후렴구(여음구, 조흥구)가 발달
내용 주로 남녀 간의 사랑, 자연에 대한 예찬, 이별의 아쉬움 등 평민들의 소박하고 진솔한 감정
전승과정 평민들 사이에서 입에서 입으로 전달, 조선 시대 궁중 음악으로 유입되어 훈민정음 제정 이후 문자로 정착, 문자로 정착하는 과정에서 남녀상열지사라고 하여 개작되고 삭제되기도 함.
황조가 -> 가시리, 서경별곡 -> 황진이의 시조, 아리랑 -> 김소월의 진달래꽃

 

 

 

 

 

 

가시리.pdf
0.08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