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시리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는
율격을 맞추고 흥을 돋우기 위해 넣은 어구(여음구, 조흥구)
버리고 가시리잇고 나는
버리고 가시렵니까 -> 반복으로 화자의 안타까움과 간절함 강조
위 증즐가 대평성대
율격을 맞추기 위해 넣은 의미 없는 후렴구(여음구, 조흥구, 후렴구),
궁중 음악으로 사용된 흔적
=> 기 : 이별에 대한 안타까움
날러는 어찌 살라 하고
나는
버리고 가시리잇고 나는
위 증즐가 대평성대
=> 승 : 떠나는 임에 대한 원망
잡사와 두어리마나는
붙잡아
선하면 아니 올세라
서운하면, 귀찮게 하면 / 오지 않을까 두렵습니다.
위 증즐가 대평성대
=> 전 : 어쩔 수 없이 이별을 받아들임(체념)
설온 님 보내옵나니 나는
① 나를 서럽게 하는 임 ② 이별을 서러워하는 임
가시는 듯 돌아오소서 나는
가시자마자
위 증즐가 대평성대
=> 결 : 임이 다시 돌아오기를 기원함
O 갈래 : 고려 가요(고려속요)
O 성격 : 서정적, 전통적, 민요적, 애상적
O 구성 : 기-승-전-결
O 운율 : 외형률 (3·3·2조, 3음보)
O 제재 : 이별
O 주제 : 이별의 정한, 임과의 이별에 대한 안타까움과
재회의 소망
O 고려 가요의 특징
개념 | 고려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로, 고려 속요, 여요, 장가 등으로 불림 |
작가 | 대부분이 작자 미상임 |
형식 | 3·3·2조, 3음보의 율격, 대부분이 분절체, 후렴구(여음구, 조흥구)가 발달 |
내용 | 주로 남녀 간의 사랑, 자연에 대한 예찬, 이별의 아쉬움 등 평민들의 소박하고 진솔한 감정 |
전승과정 | 평민들 사이에서 입에서 입으로 전달, 조선 시대 궁중 음악으로 유입되어 훈민정음 제정 이후 문자로 정착, 문자로 정착하는 과정에서 남녀상열지사라고 하여 개작되고 삭제되기도 함. 황조가 -> 가시리, 서경별곡 -> 황진이의 시조, 아리랑 -> 김소월의 진달래꽃 |
반응형
'요점정리 > 고전 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논매기 노래 (0) | 2023.04.16 |
---|---|
(요점 정리) 내 언제 무신하여 ~ - 황진이 (0) | 2023.04.16 |
(요점 정리) 공무도하가 – 백수광부의 아내 (0) | 2023.04.12 |
(요점 정리) 곡자 - 허난설헌 (0) | 2023.04.12 |
(요점 정리) 백설이 ᄌᆞ자진 골에 ~ - 이색 (0) | 202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