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점정리/현대 산문

(요점 정리) 만선 - 천승세

by 세모답 2023. 4. 22.
반응형

요점정리 전체 다운로드

만선 - 천승세.pdf
0.13MB

 

 

 

 

만선(滿船)

- 천승세

 

O 갈래 : 희곡. 비극. 장막극. 사실주의극

O 배경 : 현대 남해안의 어촌

O 특성 : 어민들의 삶을 그들의 언어로 그려 사실성

토속성을 살림

O 의의 : 운명 비극의 전통성을 토착적 세계와 연결시

. 희곡의 사실주의 실현

O 주제 : 한 어민의 운명에 대한 도전으로 나타난 비극

적 삶. 어부들의 현실과 이상과의 갈등. 삶에 대한 집

념과 그 좌절

O 구성 : 4단 구성(전편 36)

발단(11) - 부서 떼의 출현과 선주의 빚 독

상승(12-22) - 선주와 계약, 도삼과

연철과 함께 출어하는 곰치

절정(23) - 풍랑으로 도삼과 연철을 잃고

집으로 돌아온 곰치

대단원(3) - 실성한 구포댁은 빈배에 띄워 보

내고, 슬슬이는 목을 맴

 

O 인물

곰치 - 가난한 어부. 만선의 집념을 가지고 바다에

도전함

구포댁 - 곰치의 아내. 아들을 잃고 실성함

도삼 - 곰치의 아들

 

O 작품의 특징

내용 : 어부 곰치와 그의 아내 구포댁을 중심으로

인간과 자연의 대결, 부성과 모성의 갈등 속에서

인간의 도전과 한계, 희망과 비극을 그려 냄.

구성 : 곰치의 굽힐 줄 모르는 집념과 강인한 의지

가 오히려 파멸의 원인이 되는 비극의 구성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를 성격 비극이라 함.

표현 : 억센 사투리로 절묘한 대사가 인물의 우직한

성격과 잘 결합되어 짙은 향토성을 보여 주며, 어부들

의 꿈과 좌절이 사실적으로 형상화됨.

 

 

 

 

O 곰치와 구포댁의 갈등 양상

곰치 구포댁
바다에 대한 집념 바다를 벗어나고자 하는 집념
어부 생활에 대한 집념 후손에 대한 집념
자연과 싸우는 부성(父性)의 억셈 죽음의 숙명에서 벗어나려는 모성애

 

O 작품에서 드러나는 세 가지 갈등 구조

인간과 자연의 대결 : 집채만한 파도가 치는 거친

바다와 이에 맞서 싸우는 주인공의 대결

빈부 간의 갈등 : 남이야 죽건 말건 약점을 이용하

여 쉽게 돈을 벌려는 선주와 목숨을 걸고 만선의 꿈

을 이루어야 하는 가난한 어민의 갈등

곰치와 구포댁의 갈등 : 금방 죽더라도 만선에의

꿈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믿는 곰치와 어떻게든 자

식의 목숨만은 살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구포댁의 갈

 

O 희곡의 본질과 특성

무대 상연의 문학 : 희곡은 다른 문학 갈래와 달리

무대 공연을 전제로 삼는 문학임.

대사의 문학 : 희곡은 대사를 표현 방법으로 하는

문학. 소설에서도 대화를 쓰지만 그 기능은 부분적인

데 반해, 희곡에서 대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절대

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님.

행동의 문학 : 희곡은 무대 위에서 인생을 표현하되,

오직 극중의 직접적인 행동과 대화를 통해서만 가능

하다는 점에 그 주요한 특색이 있음. 인물과 사건이

있다는 점에서는 소설과 비슷하지만, 희곡에서의 행동

은 배우가 무대 위에서 현실화하는 것이고, 작가의 설

명이나 개입을 전혀 허용하지 않는 행동인 것임.

현재 진행형의 문학 : 희곡은 무대 위에서 직접 인

생을 표현하기 위한 현재 진행형의 문학. 다시 말

해서, 작중의 사건을 관객의 눈앞에서 현재의 사건으

로 제시해야 하는 것. 그렇기 때문에 희곡은 시간

과 공간의 이동을 마음대로 하기 어려운 제약이 따름

 

 

 

 

O 희곡의 구성 요소

대사 : 대화, 독백, 방백

지시문 : 등장인물이나 시간, 장소, 무대 등을

설명하거나 인물의 동작이나 표정, 음향 효과나 조명

등을 지시하는 글. 주로 작품의 첫머리나 장, 막의 첫

머리에 제시되거나, 대사와 대사 사이에 제시됨

 

O 희곡 구성상의 한계

희곡은 무대 공연을 전제로 한다 : 직접 설명, 직접

묘사가 불가능

희곡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는다.

희곡은 등장 인물이나 장면의 수에 제약을 받는다.

희곡의 문장은 대사 위주로 되어 있다 : 소설은 대

화보다는 설명 위주라는 점에서 희곡과 다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