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황조가
翩翩黃鳥 훨훨 나는 저 꾀꼬리
편편황조 의태법 객관적 상관물
雌雄相依 암수 정답게 노니는데,
자웅상의 화자의 처지와 대조적
念我之獨 외로울사 이 내 몸은
염아지독 시적 화자의 정서 - 외로움
誰其與歸 뉘와 함께 돌아갈꼬?
수기여귀
O 갈래 : 4언 4구체 한역시
O 작자 : 고구려 제 2대 유리왕(瑠璃王)
O 성격 : 개인적 서정시, 삽입 가요
O 표현 : 자연물을 빌려 우의적(寓意的)으로 표현, 대조
법, 의태법, 선경후정(先景後情)
O 주제 : 짝 잃은 외로움
O 출전 : [삼국사기] 권 13 ‘고구려 본기'
O 의의
① 연대를 확인할 수 있는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개인
적 서정시
② 집단 가요에서 개인적 서정시로 넘어가는 단계의
가요
O 해석
① 고구려의 민요로서 유리왕이 가창한 것이다.
② 남녀가 배우자를 선택할 때 불려진 사랑가의 한 토
막이다.
③ 종족간의 상쟁(相爭)을 화해시키려다 실패한 추장의
탄식이다. (서사시)
O 꾀꼬리의 상징성
① 정답게 서로 사랑하는 자연물
② 실연의 아픔을 깨닫게 하는 존재
③ 과거를 회상하게 해 주는 매개체
④ 님에 대한 그리움을 환기시키는 존재
반응형
'요점정리 > 고전 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찬기파랑가 – 충담사 지음, 김완진 해독 (0) | 2023.05.03 |
---|---|
(요점 정리) 宅(댁)들에 동난지이 사오~ (0) | 2023.05.03 |
(요점 정리) 헌화가 – 견우노인(牽牛老人) (0) | 2023.04.30 |
(요점 정리) 탐진촌요 - 정약용 (0) | 2023.04.30 |
(요점 정리) 청산별곡 (0) | 2023.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