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점정리/고전 운문

(요점 정리) 고시 - 정약용

by 기출마스터 2023. 5. 5.
반응형

 

 

 

 

고시(古詩)

- 정약용(丁若鏞)

 

 

鷰子初來時(연자초래시暔暔語不休(남남어불휴)

語意雖未明(어의수미명似訴無家愁(사소무가소)

楡槐老多穴(유괴로다혈何不此淹留(하부차엄류)

燕子復暔暔(연자부남남似與人語酬(사여인어수)

楡穴鸛來啄(유혈관래탁槐穴蛇來搜(괴혈사래수)

 

제비 한 마리 처음 날아와

여기서 제비는 관리들에게 수탈당하여 어려움을 겪는 백성들을 암시

지지배배 그 소리 그치지 않네

=> 그치지 않는 제비의 울음 소리

말하는 뜻 분명히 알 수 없지만

 

집 없는 서러움을 호소하는 듯

백성들의 삶의 현실

=> 집 없는 서러움을 호소하는 제비의 소리

"느릅나무 홰나무 묵어 구멍 많은데

 

어찌하여 그 곳에 깃들지 않니?“

=> 제비가 느릅나무와 홰나무 구멍에 들지 않음

제비 다시 지저귀며

 

사람에게 말하듯

=> 사람에게 말하는 듯한 제비의 소리

"느릅나무 구멍은 황새가 쪼고

 

홰나무 구멍은 뱀이 와서 뒤진다오."

 지배 세력의 착취와 수탈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황새', ''은 백성을 괴롭히는 권력층이나 힘이 있는 사람들을 암시하는 것으로 고려 시대 이제현의 '사리화'에서는 권력층이 '참새'로 비유되는 것에 비해 여기서는 '제비'라는 새가 약자인 백성을 상징하고 있고, 고사성어로 가렴주구(苛斂誅求)가 연상되는 대목이다.

=> 느릅나무와 홰나무 구멍을 노리는 황새와 뱀

 

  

O 갈래 : 한시, 오언 고시

O 성격 : 풍자적, 우의적, 현실 비판적

O 어조 : 안타까움과 연민(憐愍)의 목소리, 부당한 현실 을 비유적으로 고발하며 원망하는 어조

O 표현 : 우의적 표현, 시대 현실을 바탕으로 한 사실 적 표현

O 제재 : 제비의 울음 소리

O 주제 : 지배층의 횡포와 피지배층의 고통

O 출전 : 다산시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