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숨아 셰한숨아 ~
- 작자 미상
한숨아 셰한숨아 네 어 틈으로 드러온다.
어느 틈 들어오느냐
고모 장 셰 장 들 장 열 장에 암돌젹귀 수
구무래 장지 / 가는 살로 만든 장지 / 들어 올려서 매달아 놓은 장지
돌젹귀 목걸 닥 박고 크나큰 을 쇠로 숙이숙이
문고리를 거는 쇠
엿듸 屛風(병풍)이라 덜걱 접고 簇子(족자)ㅣ라
문, 창문의 종류와 문과 관련된 장치·사물을 열거하여 한숨을
막고자 하는 화자의 근심을 해학적으로 표현함.
골 말고, 녜 어 틈으로 드러온다.
드러오느냐
어인지 너 온 날이면 못 드러 노라.
어찌된 일인지 장 들어
<현대어 풀이>
한숨아 세(가느다란) 한숨아, 네 어느 틈으로 들어오느냐?
고모장지, 세살장지, 들장지, 열장지,(이상 문의 종류) 암돌쩌귀, 숫돌쩌귀,(문 다는데 필요한 도구들) 배목걸새(문고리 거는 쇠) 뚝딱 박고, 크나큰 자물쇠로 깊이깊이 채웠는데, 병풍이라 덜컥 접은 족자라 대대굴 마느냐? 네 어느 틈으로 들어오느냐?
어찌된 일인지 네가 오는 날이면 잠 못 들어 하는구나.
O 갈래 : 사설시조
O 성격 : 해학적, 정서적
O 제재 : 한숨, 문이나 창문에 관련된 사물들
O 주제 : 그칠 줄 모르는 시름
O 특징 :
① 생활 속의 사소한 사물들을 열거하여 진솔하고 생 동감 있게 정서를 표현함.
② 한숨을 의인화하여 고달픈 삶의 애환을 해학적으로 표현함.
③ 4음보 율격에서 이탈하여 장형화된 형식을 지님.
O 이 시조의 구조
초장 | 한숨이 나옴 |
중장 | 한숨을 막으려는 노력이 실패로 돌아감 |
종장 | 한숨을 원망함 |
'요점정리 > 고전 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보리타작 - 정약용 (0) | 2023.05.13 |
---|---|
(요점 정리) 고산구곡가 - 이이 (0) | 2023.05.13 |
(요점 정리) 窓(창) 내고쟈 窓(창)을 내고쟈 ~ - 작자 미상 (0) | 2023.05.13 |
(요점 정리) 盤中(반중) 早紅(조홍)감이 ~ - 박인로 (0) | 2023.05.13 |
발가버슨 兒孩(아해)ㅣ들리 ~ - 이정신 (0) | 2023.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