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춘망사
- 두보
風花日將老(풍화일장로) 꽃잎은 하염없이 바람에 지고
계쩔의 변화 – 세월의 흐름을 느낌
佳期猶渺渺(가기유묘묘) 만날 날은 아득타, 기약이 없네
임과 다시 만날 날을 알 수 없어 안타까워함(1행과 대조)
不結同心人(불결동심인) 무어라, 맘과 맘은 맺지 못하고
감탄사
空結同心草(공결동심초) 한갖되이 풀잎만 맺으려는고.
: 운자(음조가 비슷한 글자가 쓰임 ) / 한갓되이 – 헛되이
O 갈래 : 한시, 오언 절구
O 성격 : 애상적, 체념적
O 제재 : 꽃잎, 풀잎
O 주제 : 임에 대한 그리움
O 특징 :
➀ 정형시의 율격에 맞추기 위한 운자를 사용함
➁ 기승전결의 구조로 전구(3행)와 결구(4행)가 대구됨
O 인간사와 자연의 대조
자연 | 인간 | |
꽃잎 ⟶ 자연의 순환 원리에 따라 때가 되면 꽃이 피고 짐. |
⇔ 대조 |
임 ⟶ 화자가 몹시 바라는데도 화자에게로 돌아오지 않음. |
⇓ | ⇓ | |
계절의 변화 → 화자에게 시간의 흐름을 느끼게 하며, 자연의 순환 원리를 깨닫게 함. (자연에는 변화가 찾아옴.) | 임과 만날 날은 기약조차 없음. → 피었던 꽃이 지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별의 상태에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음. |
→ 자연과 인간사의 대조를 통해 임이 언제 돌아올지 알 수 없는 상황에 대한 안타까움을 강조함.
O 오언 절구의 형식적 특징
➀ 한 구절에 5글자, 네 구절로 이루어진 시를 오언 절구라고 함.
➁ 기-승-전-결의 짜임을 갖추며, 주로 두 번째 구절과 네 번째 구절의 마지막 글자가 운자를 이룸.(첫 번째 구절에도 압운하는 경우도 있음)
O 시조와 한시의 공통점과 차이점
공통점 | 시조와 한시 모두 일정한 형식이 있다. |
차이점 | - 시조는 글자 수를 한두 글자 정도 어기는 것을 허용하나 한시는 그렇지 않다. - 시조에는 시상의 흐름에 제한이 없으나 한시에는 ‘기 - 승 - 전 - 결’의 짜임과 같이 시상의 흐름에 제한이 있다, - 한시에는 운자의 위치에 대한 제한이 엄격하다. |
반응형
'요점정리 > 외국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별 – 알퐁스 도데 (0) | 2023.05.29 |
---|---|
(요점 정리) 어린왕자 - 생텍쥐페리 (0) | 2023.05.19 |
(요점 정리) 동곡칠가 4 - 두보 (0) | 2023.05.11 |
(요점 정리) 서정시를 쓰기 힘든 시대 – 베르톨트 브레히트 (0) | 2023.05.09 |
(요점 정리) 인종 분리의 장벽을 넘어 – 넬슨 만델라 (0) | 2023.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