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어제훈민정음
O 갈래 : 번역문
O 성격 : 교시적, 설명적
O 주제 : 훈민정음의 창제 의도
O 특징 :
① 15세기 중세 국어의 모습이 잘 드러남.
② 훈민정음의 창제 정신(자주 정신, 애민 정신, 창조 정신, 실용 정신)이 잘 드러남.
O 세종어제 훈민정음 원문과 해석
나·랏:말·미中國·귁·에달·아文문字··와·로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서르·디아·니··
서로 통하지 아니해서 (자주정신)
이런젼··로어·린百·姓·셩·이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겅이
니르·고·져··배이·셔·도·:내제··들시·러펴·디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몯·노·미하·니·라
못하는 사람이 많으니라
·내·이·爲·윙··야:어엿·비너·겨·
내 이를 위하여 불쌍히 여겨 (애민정신)
새·로·스·믈여·듧字···노·니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노니 (창조정신)
:사마·다:·수·니·겨·날·로··메
사람마다 하여 쉽게 익혀 날로 씀에
便뼌安·킈·고·져·미니·라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실용정신)
O <세종 어제 훈민정음>에 나타난 내용
당대 문자의 현실 | 국어와 한자는 서로 통하지 않음. |
새 문자의 창제 동기 | 글 자를 몰라 자신의 의견을 말하지 못하는 백성들을 가엾게 여겼기 때문에 |
새 문자의 창제 목적 | 백성들의 편리한 생활을 위해 |
O <세종 어제 훈민정음>에 나타난 중세 국어의 특징
음운 | • ‘ㅸ, ㆁ, ㆆ, ㆍ’ 등 지금은 쓰이지 않는 음운을 사용함. • ‘ㅳ,ㅼ’ 등의 어두 자음군을 사용함. • 방점을 사용하여 성조를 나타냄. • 두음 법칙과 구개음화가 적용되지 않음. • 모음 조화가 잘 지켜짐. |
문법 | • 주격 조사 ‘이’가 쓰임. • 명사형 어미 ‘- 옴 / 움’이 사용됨. • 비교 부사격 조사 ‘에’가 쓰임. |
표기 | • 이어 적기를 함. (연철 표기) • 띄어쓰기를 하지 않음. • 동국 정운식 표기를 함. |
어휘 | ‘젼’ 등 현재 쓰이지 않는 어휘가 사용됨. |
O 모음조화
• 양성 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음성 모음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리는 현상 • 후에 ‘ㆍ’가 소멸되면서 ‘ㆍ’와 ‘ㅡ’의 대립이 없어져 모음 조화가 문란해짐. |
O 동국정운식 표기
- 세종때 만들어진 이상적 한자음 표기 방식
➀ 초성에 각자병서 및 'ㅿ, ㆁ, ㆆ' 등을 사용
예) 字 , 便安 뼌안(초성;ㆆ)
➁ 이영보래(以影補來)라 하여 받침 'ㄹ'로 된 한자음은 모두 'ㅭ'으로 통일
➂ 종성에 받침이 없더라도 형식 종성‘ㅇ’을 달았음
예) 爲 윙, 字·
O 중세 국어에서 현대 국어로의 변화
중세 국어 | 현대 국어 | 변화 | |
음 운 |
성조(방점)○ | 성조 × | 중세 국어에서는 글자의 왼쪽에 점을 찍어 소리의 높낮이를 표시했으나, 이는 임진왜란 이후 소멸되었다. |
니르·고·져 | 이르고자 ( 말하고자 ) |
• 단어의 첫머리에 오는 ‘ㄴ’이 ‘ㅣ’ 모음 앞에서 탈락하는 두음 법칙의 영향으로 ‘니’가 ‘이’로 바뀌었다. • 근대 국어 시기에 일어난 어미 모음의 양성화에 따라 어미 ‘-고져’가 ‘-고자’로 바뀌었다. |
|
·:내 | 마침내 | ‘·’가 소실되면서 ‘ㅏ’와 ‘ㅣ’로 바뀌었다. | |
··들 | 뜻을 | 어두 자음군이 소실되고 된소리로 바뀌어 ‘ㅳ’이 ‘ㄸ’이 되었다. | |
펴·디 | 펴지 | ‘ㄷ, ㅌ’이 ‘ㅣ’ 모음 앞에서 ‘ㅈ, ㅊ’으로 변하는 구개음화의 영향으로 ‘-디’가 ‘-지’로 바뀌었다. | |
·스·믈 | 스물 | 평순 모음 ‘ㅡ’가 ‘ㅁ, ㅂ, ㅍ’ 등의 아래에서 ‘ㅜ’로 변하는 원순 모음화의 영향으로 ‘스믈’이 ‘스물’로 바뀌었다. | |
문 법 |
中듕國·귁·에 | 중국과 | 중세 국어에는 비교나 기준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로 ‘에’가 있었다. |
어 휘 |
어·린 | 나이가 적은 | 중세 국어에서는 ‘어리석은’의 뜻이었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나이가 적은’을 뜻한다. |
·노·미 | 놈이 | 중세 국어에서는 ‘보통 사람’의 뜻이었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남자를 낮추어 가리키는 말’이다. | |
:어엿·비 | 어여쁘게 | 중세 국어에서는 ‘가엾게, 불쌍하게’의 뜻이었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어여쁘게, 예쁘게’를 뜻한다. | |
표 기 |
·노·미/ ·미니·라 |
놈이/ 따름이니라 |
중세 국어에서는 이어 적기가 널리 쓰였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끊어 적기가 보편적이다. |
띄어쓰기× | 띄어쓰기○ | 중세 국어에서는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으나, 현대 국어에 서는 띄어쓰기를 한다. |
'요점정리 > 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서사 갈래의 흐름 (0) | 2023.05.09 |
---|---|
(요점 정리) 서정 갈래의 흐름 (0) | 2023.05.09 |
(요점 정리) 사랑 대 러브 – 정경조, 정수현 (0) | 2023.05.09 |
(요점 정리) 담화 상황과 문법 요소 (0) | 2023.05.07 |
(요점 정리) 마음을 나누는 대화 (0) | 2023.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