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점정리/비문학

(요점 정리) 서정 갈래의 흐름

by 답지책방 2023. 5. 9.
반응형

4-1-0 서정 갈래의 흐름.pdf
0.11MB

 

 

 

 

 

서정 갈래의 흐름

 

고대 가요 고대 부족 국가 시대부터 삼국 시대 초기까지 향가 성립 이전에 불린 노래
공무도하가’(고조선), ‘황조가’(고구려), ‘구지가’(가야국), ‘정읍사’(백제)
한시 삼국 시대 한자가 보급되며 상층 귀족층에서 창작됨
고려 시대 무신난 이후 신흥 사대부가 새로운 문학 담당층으로 등장함
농민시, 애민시 등으로 한시의 폭을 넓힘
향가 향찰을 활용하여 우리말 노래를 표기한 갈래
신라 시대에 주로 창작됨
10구체 향가 : 정형 시가로서의 온전한 형식을 갖춤
고려
가요
민요에 기원을 둠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에 구전되다가 한글로 수록됨
연체 또는 분연체, 후렴구
다양한 주제를 다룸
시조 고려 후기에 형성됨
조선 시대의 대표 서정 갈래이며 오늘날에도 창작됨
조선
전기
사대부들의 이념과 예술적 취향 형상화 : 강호·훈민 시조
여성의 감성을 노래한 기녀 시조
조선
후기
문학 담당층의 확대와 서민 의식의 성장으로 소재나 주제의 다양화
사설시조의 발달 : 서민의 일상, 지배층 풍자
전문 가객의 시조집
가사 조선 시대에 주로 향유됨
여러 갈래의 성격이 섞여 있음
개화기 고전 문학의 형식을 이어받아 변화를 모색함
내용 : 봉건 질서 타파, 애국, 계몽 등
개화 가사와 신체시
1910년대 신문, 잡지, 동인지를 통해 많이 발표됨
서구 문학이 본격 소개됨
감상적·퇴폐적 경향의 낭만주의 시, 저항시, 서사시, 경향시, 김소월과 한용운
1920년대 초반 순수시와 모더니즘 시 공존
후반 생명파와 청록파 시인 등장, 정지용, 이상, 백석 등을 통한 한국 시의 가능성
해방전 일제의 민족어의 발살 정책과 정치 탄압으로 고통
일제에 대한 저항의식 : 윤동주, 이육사
해방
직후
많은 잡지와 시집의 간행 : 유고 시집, 공동 시집 등
1950년대 한국 전쟁으로 인한 피해 복구
전쟁시, 전후의 허무감, 서정시의 맥, 모더니즘 운동
1960년대 4·19 혁명의 정신을 이어 받음
부조리한 현실을 고발한 참여시가 주목 받음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문제
현실 참여적 경향이 크게 대두되고, 내면과 사회를 아우르는 다양한 경향의 시가 발표됨
1980년대
이후
5·18 민주화 운동을 촉발한 민주화의 열기
민중 지향적인 시, 새로운 감수성을 성보인 서정시, 해체시, 독자적인 시 세계 등
1990
년대
이후
정치적 민주화가 정착되면서 다채롭게 변화, 발전함
대중문화의 발달로 작품의 소재와 주제의 다양화

 

 

O 해체시

- 기존의 형식이나 규범을 깨뜨리고 새로운 기법과 형 식을 모색한 시 작품을 말함

- 언어가 현실을 있는 그대로 재현할 수 없다는 불신 에서 출발함

- 문학 외적인 기존 양식들을 차용함으로써 현대의 파 편화된 현실을 재구성하고자 하는 형식적 특성이 나타남

 

O 참여시

- 정치·사회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비판적인 의식으 로 그 변혁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은 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