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점정리/고전 운문

(요점 정리) 고인도 날 몯 보고~ - 이황

by 세모답 2023. 5. 13.
반응형

3-1-2 고인도 날 못보고~,한숨아 세 한숨아~.pdf
0.14MB

 

 

 

 

古人(고인)도 날 몯 보고 ~

이황

 

古人(고인)도 날 몯 보고 나도 古人(고인) 몯 뵈.

성현들과 는 시간과 공간의 한계 때문에 서로를 직접 보거나 만날 수 없음.

古人(고인)을 몯 뵈도 녀던 길 ,

옛 성현들이 가던 학문과 수양의 길

녀던 길 알잇거든 아니 녀고 엇뎔고.

고인이 가던 길을 자신도 따라 걸어가겠다는 의지

 

<현대어 풀이>

옛 성현도 날 못 보고 나도 옛 성현을 못 뵈어

옛 성현을 못 뵈어도 성현들의 학문의 길이 앞에 있네

성현들의 학문의 길이 앞에 있는데 안 가고 어찌할꼬

 

O 갈래 : 연시조, 사대부 시조

O 성격 : 의지적, 교훈적, 도학적

O 제재 : 고인이 가던 길[]

O 주제 : 고인의 삶을 본받고자 하는 의지

(학문 수양에 대한 의지)

O 특징 :

고인이 깨닫고자 했던 도[]를 고인이 걷던 길로 비유적으로 표현함.

설의법을 활용하여 화자의 의지를 표현함.

4음보 율격을 지님.

 

O 이 시조의 구조

초장 고인과 나 사이의 먼 거리
중장 고인과 나 사이를 이어 주는 길
종장 고인이 가던 길을 나도 가겠다는 결심

 

 

 

 

한숨아 셰한숨아 ~

- 지은이 미상

 

한숨아 셰한숨아 네 으로 드러온다.

어느 틈 들어오느냐

고모 장 들 장 열 장에 암돌젹귀 수

구무래 장지 / 가는 살로 만든 장지 / 들어 올려서 매달아 놓은 장지

돌젹귀 목걸 닥 박고 크나큰 을 쇠로 숙이숙이

문고리를 거는 쇠

屛風(병풍)이라 덜걱 접고 簇子(족자)ㅣ라

, 창문의 종류와 문과 관련된 장치·사물을 열거하여 한숨을

막고자 하는 화자의 근심을 해학적으로 표현함.

골 말고, 녜 어틈으로 드러온다.

드러오느냐

어인지 너 온 날이면 드러 노라.

어찌된 일인지 장 들어

 

<현대어 풀이>

한숨아 세(가느다란) 한숨아, 네 어느 틈으로 들어오느냐?

고모장지, 세살장지, 들장지, 열장지,(이상 문의 종류) 암돌쩌귀, 숫돌쩌귀,(문 다는데 필요한 도구들) 배목걸새(문고리 거는 쇠) 뚝딱 박고, 크나큰 자물쇠로 깊이깊이 채웠는데, 병풍이라 덜컥 접은 족자라 대대굴 마느냐? 네 어느 틈으로 들어오느냐?

어찌된 일인지 네가 오는 날이면 잠 못 들어 하는구나.

 

O 갈래 : 사설시조

O 성격 : 해학적, 정서적

O 제재 : 한숨, 문이나 창문에 관련된 사물들

O 주제 : 그칠 줄 모르는 시름

O 특징 :

생활 속의 사소한 사물들을 열거하여 진솔하고 생 동감 있게 정서를 표현함.

한숨을 의인화하여 고달픈 삶의 애환을 해학적으로 표현함.

4음보 율격에서 이탈하여 장형화된 형식을 지님.

 

O 이 시조의 구조

초장 한숨이 나옴
중장 한숨을 막으려는 노력이 실패로 돌아감
종장 한숨을 원망함

 

 

 

O 시조의 특징

- 고려 후기에 발생한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 시가

시대별 변화 고려 후기에 발생한 시조는 조선 시대에 크게 발전하였으며, 조선 후기에는 평시조보다 긴 사설시조가 유행하고 향유층이 확대됨.
향유층 초기에는 사대부 중심으로 창작·수용되었으나, 조선 전기에 기생도 창작에 참여하였으며 조선 후기에는 중인에 이르기까지 향유 계층이 확대됨.
기본 형식 3645자 내외4음보 율격을 지니며, 종장 첫 구는 3음절로 고정됨.

 

O 시조의 종류

평시조 시조의 기본 형식을 지닌 시조
() <이화에 월백>(이조년)
연시조 두 개 이상의 평시조가 하나의 제목으로 엮이어 있는 시조 () <도산십이곡>(이황)
사설
시조
··종장의 형식을 지니지만 4음보 율격에서 벗어나 현저하게 길어진 시조 () <한숨아 셰 한숨아>(작자 미상)

 

O 사설 시조의 특징

길이와
음보율
종장 형식을 지니지만 4음보 율격에서 벗어나 현저하게 길어짐.
언어와
소재
일상적 언어, 하찮고 잡다한 사물
내용 일상 속 평범한 사람들에 대한 관찰
고달픈 생활과 세태에 대한 해학풍자

 

 

 

 

 

 

 

 

O <고인도 날 못 보고><한숨아 셰 한숨아> 비교

<고인도 날 못 보고>
구분
<한숨아 셰 한숨아>
연시조 …… 갈래 …… 사설시조
조선 시대의
유학자, 양반
…… 작자 …… 대체로 조선 시대
평민과 관련지음.
일반적인 평시조 길이임. …… 길이 …… 중장이 훨씬 긺.
유교적 삶의 자세를 드러냄.
연쇄법으로 주제 의식을 드러냄.
…… 소재와
표현
…… 잡다한 사물이 나열됨.
고달픈 삶을 해학적으로 표현함.
고인의 삶을 본받고자 하는 의지(학문 수양에 대한 의지) …… 주제 …… 그칠 줄 모르는 시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