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상(山上)의 노래
- 조지훈
높으디 높은 산마루
인고의 극한적인 공간
낡은 고목에 못박힌 듯 기대여
현재 화자의 모습
내 홀로 긴 밤을
무엇을 간구하며 울어왔는가.
간절히 바라며
1연 : 해방을 염원하는 간절한 바람
아아 이 아침
시들은 핏줄의 구비구비로
싸늘한 가슴의 한복판까지
핏줄, 가슴 : 생명력을 상실한 화자의 모습
은은히 울려오는 종소리
2연 : 간구하던 대상의 도래
이제 눈 감아도 오히려
기다림을 그쳐도(간구하며 울지 않아도)
꽃다운 하늘이거니
내 영혼의 촛불로
기다림의 슬픔
어둠 속에 나래 떨던 샛별아 숨으라
날개 기다림의 슬픔
3연 : 대상의 도래에 따른 슬픔의 꿈과 위안
환히 트이는 이마 위
떠오르는 햇살은
간구의 대상 - 인간과 만물의 생명력, 해방
시월 상달의 꿈과 같고나
4연 : 대상의 도래에 따른 환희
메마른 입술에 피가 돌아
해방 이전의 긴 침묵의 고통 / 피 - 간구의 대상(인간과 만물의 생명 력)
오래 잊었던 피리의
가락을 더듬노니
생명력이 넘치는 화자와 사물의 모습
5연 : 상실했거나 위축됐던 생명력의 회복
새들 즐거이 구름 끝에 노래 부르고
생명력이 넘치는 화자와 사물의 모습
사슴과 토끼는
한 포기 향기로운 싸릿순을 사양하라.
모든 생명을 경외하라
7연 : 희망과 기쁨이 있는 기다림
여기 높으디 높은 산마루
맑은 바람 속에 옷자락을 날리며
희망에 찬 화자의 모습
내 홀로 서서
무엇을 기다리며 노래하는가.
7연 : 해방 후 새로운 미래를 기다림
O 갈래 : 현대시(자유시, 서정시)
O 성격 : 지사적, 감각적, 의지적
O 주제 : 어두운 과거를 극복한 현실에 대한 기쁨과 미
래에 대한 소망
O 특징
① 비슷한 내용의 연과 행을 반복하여 주제를 강조하
고 있음.
② 감각적 이미지의 활용이 두드러짐
③ 해방의 감격을 비유적 표현과 절제된 어조를 통해
우회적으로 표현
O 화자의 상황변화
부정적 상황 | => (대조) |
긍정적 상황 |
① ‘낡은 고목에 못 박 힌 듯 기대어’ ② ‘무엇을 간구하며 울어 왔는가’ |
① ‘메마른 입술에 피가 돌아’ ② ‘맑은 바람 속에 옷자락을 날리며’ |
|
어딘가에 기대야 하는 힘겨운 모습 | 생기를 되찾고 의지를 다지는 선구자적인 모습 |
O 화자의 태도
=> 새로운 역사적 상황이 전개되는 가운데 민족의 앞날을 염려하고 올바른 길을 모색하는 지사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O 시어, 시구의 의미
종소리 | ① 아침을 밝히는 소리 ② 새로운 희망이 다가옴을 암시 |
시월상달의 꿈 | ① 고생 끝에 열매를 수확한 꿈 ② 숭고하고 절실한 바람, 이상의 실현 |
싸릿순 | ① 먹이, 이익이 되는 것 ② 양보의 미덕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 |
O 관점에 따른 작품 감상
① 내재적 관점
=> 자연 속에서 화자가 느끼는 정섲가 잠각적으로 잘 형상화 됨
② 외재적 관점
=> 해방 직후라는 배경을 고려해 보면, 해방의 감격과 미래의 희망을 노래한 것임.
O ‘높으디 높은 산마루’의 의미
1연 | 7연 | |
시간적 상황 | 과거 | 현재 |
공간의 의미 | 인고의 극한적 공간 | 희망의 공간 |
화자의 행동 | 어둠 속에서 울고 있음 | 맑은 바람 속에 옷자락을 날리고 있음 |
화자의 태도 | 결핍된 그 무엇을 열렬히 바라고 있음 | 또 다른 그 무엇을 기다리고 있음 |
'요점정리 > 현대 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점 정리) 산유화 - 김소월 (0) | 2023.04.23 |
---|---|
(요점 정리) 산에 대하여 - 신경림 (0) | 2023.04.23 |
(요점 정리) 산문시1 - 신동엽 (0) | 2023.04.23 |
(요점 정리) 사평역에서 - 곽재구 (0) | 2023.04.23 |
(요점 정리) 사투리 - 박목월 (0) | 2023.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