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점정리/고전 운문95 (요점 정리) 상춘곡 - 정극인 상춘곡 -정극인 : 자연에 묻혀 사는 즐거움 => 번잡한 세속에 묻혀 사는 사람들과의 대비 => 고인(故人)들의 풍류적 삶과 비교하여 풍류를 즐기는 자신의 삶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냄 홍진(紅塵)에 뭇친 분네 먼지. 속된 세상을 비유 / 사람들아 이내 생애(生涯) 엇더고. 녯 사 풍류(風流) 미이 미가. 옛사람의 풍류에 미칠 수 있다는 자부심이 드러남 천지간(天地間) 男子(남자) 몸이 날 만 이 하건마, 많건마는 산림(山林)에 뭇쳐 이셔 至樂(지락)을 것가. 자연(대유법)에 묻혀 있는 지극한 즐거움을 왜 모르는 것인가. (설의법/ 한탄) 수간모옥(數間茅屋)을 碧溪水(벽계수) 앏픠 두고, 몇 칸 안 되는 작은 초가 시냇물 앞에 두고 송죽(松竹) 울울리(鬱鬱裏)예 우거진 속 풍월 주인(風.. 2023. 4. 23. (요점 정리) 삭풍은 나무 끝에 ~ - 김종서 삭풍은 나무 끝에 불고 명월은 눈 속에 찬데 겨울철에 북쪽에서 불어오는 찬 바람 만리변성에 일장검 짚고 서서 서울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국경의 섬 긴 파람 큰 한 소리에 거칠 것이 없어라 - 김종서 o 주제 : 무인의 호방한 기개와 우국충정 o 인지적 요소 : 당시에는 한 겨울에도 북방을 지켜야 했다 o 정의적 요소 : 변방의 상황, 무인의 기개, 우국충정이 드러남다. o 심미적 요소 : 초장에서는 변방의 험한 상황을 자연 물로 형상화. 종장에서는 거센소리를 사용하여 호방한 화자의 기상을 표현 2023. 4. 23. (요점 정리) 사미인곡 - 정철 사미인곡 O 지은이 : 정철 O 연대 : 선조 21년경(1598), 지은이 53세쯤으로 추측 O 갈래 : 서정가사, 양반가사, 정격가사 O 운율 : 4음보 연속체, 3(4)․4조 O 어조 : 여성 화자의 애절한 목소리. O 공간 배경 : 전남 창평 O 구성 : 서사, 본사, 결사의 3단 구성, 본사는 춘하추동(春夏秋冬)으로 구성됨 O 주제 : 연군의 정. 충신연주지사 O 의의 : ① '속미인곡'과 더불어 가사 문학의 극치를 이룬 작품임 ② 고려 속요 '정과정'의 맥을 잇는 연군지사 임 O 출전 : 송강가사 [성주본] O 특징 ① 사미인곡 : 독백체 / 속미인곡 : 대화체 ② 임을 옥황상제에, 자신을 선녀에 비유 O 임에 대한 사랑을 상징하는 시어 ① 봄 : 매화 ② 여름 : 옷 ③ 가을 : 청광 ④ 겨울.. 2023. 4. 23. (요점 정리) 사랑이 거짓말이~ 사랑이 거짓말이~ 사랑이 거짓말이 님 날 사랑 거짓말이 꿈에 와 뵈단 말이 긔 더욱 거짓말이 날갓치 잠 아니 오면 어늬 꿈에 뵈오리. 사랑한다는 거짓말이로다. 임께서 사랑한다는 말은 거짓말이로다. 꿈에 보인다는 말은 더더욱 믿을 수 없는 말이로다 나처럼 애가 타서 잠이 오지 않으면 어느 꿈에 보인다는 말인가? O 갈래 : 시조(평시조) O 성격 : 서정적 O 제재 : 사랑, 꿈 O 주제 : 임에 대한 그리움 O 특징 ① 특정 어구의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하고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② 그리움의 심정을 투정 어린 어조로 드러내는 재치 가 돋보인다. O 내용이해 ① 화자의 상황 => 임에 대한 그리움 때문에 잠을 이루지 못하여 꿈 조차 꾸지 못함. ② 임이 나를 사랑한다는 말, 꿈에 와서 나를 보겠다는 말.. 2023. 4. 23.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