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요점정리/고전 운문95

(요점 정리) 봄 - 이성부 봄 - 이성부 기다리지 않아도 오고 기다림마저 잃었을 때에도 너는 온다 민주와 자유, 봄(의인법), 간절한 기다림의 대상 - 봄의 도래에 대한 믿음 어디 뻘밭 구석이거나 거무스름한 흙으로 이루어진 밭 썩은 물 웅덩이 같은 데를 기웃거리다가 한눈 좀 팔고 싸움도 한 판 하고, 지쳐 나자빠져 있다가 언제 어느곳이나 그 어떤 상황이라고 할지라도 봄이 온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표현 다급한 사연 듣고 달려간 바람이 흔들어 깨우면 눈 부비며 너는 더디게 온다 더디게 더디게 마침내 올 것이 온다 봄의 도래에 대한 확신 - 봄이 오기까지의 과정과 봄의 도래에 대한 확신 너를 보면 눈부셔 일어나 맞이할 수가 없다 요점 참조 입을 열어 외치지만 소리는 굳어 봄을 맞이하는 감격을 표현한 것이지 부정적 의미가 아님에 유의 .. 2023. 4. 23.
(요점 정리) 병산육곡 - 권구 병산육곡 권구 부귀(富貴)라 구(求)치 말고 빈천(貧賤)이라 염(厭)치 말라 부귀만 추구하지 말고 빈천이라고 너무 싫어하지 마라. (대구와 대조, 삶의 태도) 인생백년(人生百年)이 한가(閑暇)할사 사니 이 내 것이 인생 백 년을 한가하게 살고자 하는 것이 내 마음이니 백구(白鷗)야 날지 말아 너와 망기(忘機)하오리다. 백구야! 날아가지 마라, 너와 더불어 살면서 (속세를)잊고 살고싶구나. 속세를 잊고서 자연과 더불어 살고자 하는 물아일체의 경지 1곡 주제 : 속세를 잊고 자연과 더불어 살고자 하는 마음 천심절벽(千尋絶壁) 섯난 아래 일대장강(一帶長江) 흘너 간다 천길낭떠러지 = 높은 절벽이 있는 아래 한 줄기 긴 강이 흘러간다. (수직과 수평이미지를 통한 공간 묘사.) -> 선경​ 백구(白鷗)로 버즐 삼.. 2023. 4. 23.
(요점 정리) 면면함에 대하여 - 고재종 면면함에 대하여 너 들어 보았니 듣는 이를 ‘너’로 설정하여 친근한 느낌을 줌 저 동구 밖 느티나무의 면면함의 덕목을 보여 주는 자연물 - 시련에 처한 농민 푸르른 울음소리 공감각적 이미지(청각의 시각화) => 느티나무가 겪는 슬픔, 고통의 정도를 보여 줌 -> 동구 밖 느티나무의 울음 소리 날이면 날마다 삭풍 되게는 치고 느티나무에게 고통을 주는 찬 바람 -> 시련과 역경 우듬지 끝에 별 하나 매달지 못하던 희망 지난 겨울 시련의 시기(어려운 농총 현실) 온몸 상처투성이인 저 나무 시련과 고통을 겪은 흔적 제 상처마다에서 뽑아내던 푸르른 울음소리 -> 겨울을 견디는 느티나무의 울음 소리 너 들어 보았니 다 청산하고 떠나버리는 마을에 이농 현상 - 농촌의 어려운 현실 잔치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그래도 .. 2023. 4. 22.
(요점 정리) 매화사 - 안민영 매화사(梅花詞) - 안민영 제1수 매영(梅影)이 부드친 창(窓)에 옥인금차(玉人金𨥁) 비겨신져. 매화 그림자 비친 창에 금비녀 꽂은 미인도 있구나. 이삼 백발옹(白髮翁)은 거문고와 노래로다. 두세 노인들은 거문고를 뜯으며 노래 부르는구나. 이윽고 잔 드러 권하랄 제 달이 또한 오르더라. 이윽고 술잔을 들어 권할 때 달이 막 떠오르더라. 제2수 어리고 성근 가지 너를 밋지 아녀 더니 연약하고 듬성한 가지 너를 믿지 않았더니 눈 기약 능히 직혀 두세 송이 퓌였고나. 눈 오면 핀다는 약속 지켜 두세 송이 피었구나. 촉(燭) 잡고 갓가이 사랑할 제 암향(暗香)좃차 부동(不動)터라. 촛불 들고 가까이 사랑할 때 암향이 그윽하구나. 제3수 빙자옥질(氷姿玉質)이여 눈 속에 네로구나. 아름다운 매화여 눈 속에 너로구나.. 2023. 4.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