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요점정리/고전 운문95

(요점 정리) 만전 춘별사 만전춘(滿殿春) 지은이 미상 어름 우희 댓닙 자리 보와 댓닙으로 만든 잠자리 님과 나와 어러주글만뎡 얼어 죽어도 좋으니 임과 함께 하는 겨울 밤이 계속 되기를 바람 - 임을 사랑하는 화자의 뜨거운 마음 어름 우희 댓님 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주글만뎡 정둔 오밤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 사랑이 지속 되기를 바라는 화자의 심경 1연 : 임과의 짧은 밤에 대한 아쉬움 얼음 위에 댓잎 자리 만들어 임과 내가 얼어 죽을망정 얼음 위에 댓잎 자리 만들어 임과 내가 얼어 죽을망정 정 나눈 오늘 밤 더디 새시라 더디 새시라 경경(耿耿) 고 침상(孤枕上)에 어느 잠이 오리오 근심에 싸여 있는 외로운 잠자리 서창(西窓)을 여러니 도화(桃花)가 발(發)두다 복숭아꽃. 화자의 처지와 대비되는 존재 도화 시름업서 .. 2023. 4. 22.
(요점 정리) 마음이 어린 후니 ~ - 서경덕 음이 어린 후ㅣ니 - 서경덕(徐敬德) 음이 어린 後(후)ㅣ니  일이 다 어리다. 어리석은 종장의 나의 착각 萬重雲山(만중 운산)에 어 님 오리마 구름이 겹겹이 낀 산. 험하고 깊은 산. 지은이가 거처한 현실적 배경 지 닙 부 람에 여 긘가 노라. 도치법 그이인가. 임인가 마음이 어리석으니 하는 일마다 모두 어리석다. 겹겹이 구름 낀 산중이니 임이 올 리 없건마는 떨어지는 잎과 부는 바람 소리에도 행여나 임인가 하고 생각한다. O 갈래 - 평시조 O 성격 - 감상적, 낭만적 O 표현 - 도치법, 과장법 O 제재 - 기다림 O 주제 - 임을 기다리는 마음 지은이가 황진이를 생각하며 지은 시라고 한다. 스스로 마음이 어리석다고 자신을 낮추고 있지만 사람 에 대한 그리움이 어리석은 일은 아닐.. 2023. 4. 22.
(요점 정리) 동짓달 기나긴 밤을 - 황진이 동짓달 기나긴 밤을 - 황진이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허리를 버혀내어 임이 부재하는 길고 외로운 시간 / 외로운 시간을 줄이려는 행위 => 추상적 관념인 시간을 구체적으로 형상화 춘풍 니불 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 봄바람처럼 따뜻하고 포근한 이불 어론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정든 임과 함께 지내느라 짧게 느껴지는 밤 => 서리서리, 구뷔구뷔 : 의태어, 우리말의 묘미를 잘 살림. 관념의 구체화 o 갈래 : 평시조, 고시조, 정형시, 서정시 o 제재 : 연모의 정, 동지의 기니긴 밤 o 주제 : 임을 기다리는 애타는 마음 o 특징 : ①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사물로 형상 화 ② 여성 특유의 섬세한 감각으로 임을 그 리는 마음을 표현함 ③ 감각적인 음성상징어를 사용하여 우리 말의 묘미를 잘 살려.. 2023. 4. 17.
(요점 정리) 동동 동동(動動) -작자미상 덕으란 곰예 받고, 복으란 림예 받고, 덕일랑은 뒷 잔에 바치옵고 복일랑은 앞 잔에 바치옵고 덕은 뒤에, 신령님께, 다음 잔 바치옵고 복은 앞에, 임(임금)에게, 앞 잔 바치오니 으란(보조사) 바치다(獻), 받다(受(수)) * 곰, 림(배의 이물[船首]와 [船尾]에서 따옴 받+(객·높·선·어)+고(대·연) 덕이여 복이라 호 나라 오소다. 덕이여 복이라 하는 것을 드리러 오십시오 덕이나 복이라 하는 것을 드리러=낫다-나아가다(進) 진상하다 왔습니다.(문맥상-오십시다) 이여-감탄 접속조사) 이라-서술격 조사 +오(선·어)+ㄴ(관형사형, 매개)+(목적격) 오+ㅅ(느낌·선·어)+오+다(상·높·평·어) 아으 동동 다리. 북소리 악기소리 흉내-의성어 1연(序詞): 頌禱.. 2023. 4.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