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요점정리/고전 운문95

(요점 정리) 사친(思親) - 신사임당 사친(思親) 어버이를 그리워하며 생각함 신사임당 千里家山萬疊峯(천리가산만첩봉) 歸心長在夢魂中(귀심장재몽혼중) 寒松亭畔孤輪月(한송정반고륜월) 鏡浦臺前一陣風(경포대전일진풍) 沙上白鷺恒聚散(사상백로항취산) 波頭漁艇各西東(파두어정각서동) 何時重踏臨瀛路(하시중답임영로) 綵服斑衣膝下縫(채복반의슬하봉) 천 리 고향은 만 겹의 봉우리로 막혔으니 고향의 거리감 / 고향에 가지 못하는 장애물 돌아가고 싶은 마음은 길이 꿈속에 있도다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수구초심) => 1~2구 : 고향에 대한 그리움 한송정 가에는 외로운 보름달이요 경포대 앞에는 한 바탕 바람이로다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시각화 모래 위엔 백로가 항상 모였다가 흩어지고 파도머리엔 고깃배가 각기 동서로 왔다 갔다 하네 => 3~6구 : 고향의 모습 상상 언.. 2023. 5. 13.
(요점 정리) 삼동에 베옷 입고~ - 조식 삼동에 베옷 입고~ 조식 베로 짠 옷, 벼슬하지 않는 사람들이 입는 옷 삼동에 베옷닙고 암혈(巖穴)에 눈비마자 겨울 석달 / 바위와 굴. 은둔 생활하는 곳 구름 볏뉘도 적이 업건마 임금의 은혜. 은총 서산에 지다니 눈물겨워 노라 임금의 승하(죽음) 한 겨울에 삼베옷을 입고 바위 굴에서 눈비 맞으며 임금의 은혜를 조금도 입은 적이 없건마는, 임금께서 승하하셨다니 눈물을 억제치 못하겠노라. O 갈래 : 평시조 O 운율 : 4음보 O 제재 : 임금의 승하 O 주제 : 임금의 승하를 애도함 O 특징 : ➀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는 자신의 처지를 베옷과, 암 혈로 표현함 ➁ 임금의 은혜를 볕뉘(햇볕의 그림자)로 빗대어 표현 함 2023. 5. 13.
(요점 정리) 사모곡 사모곡(思母曲) 어머니를 생각하는 노래 호미도 날히언마라난 호미도 날이 있지만 낟가티 들리도 업스니이다 낫같이 잘 들 리도 없습니다(대조법) 아바님도 어이어신마라난 아버님도 어버이시지마는 위 덩더듕셩 조흥구 어마님가티 괴시리 업세라 어머님같이 아껴 주실 리 없어라 아소 님하 아! 님이여 감탄사, 10구체 향가의 흔적 (낙구 첫머리 감탄사) 어마님가티 괴시리 업세라 어머님같이 아껴 주실 리 없어라 호미도 날이지마는 낫과 같이 잘 들 까닭이 없습니다 아버님도 부모님이시지만 위 덩더듕셩 어머님과 같이 사랑하실 분이 없도다 아, 임이시여 어머님과 같이 사랑하실 분이 없도다 O 갈래 : 고려속요(고려가요) O 주제 :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깊은 사랑 O 형식 : 비분절체 O 특징 : ➀ 후렴구와 반복구를 생략하면.. 2023. 5. 13.
(요점 정리) 견회요 (3수) - 윤선도 견회요 - 윤선도 추성(秋城) 진호루(鎭胡樓) 밧긔 울어 예는 저 시내야. 윤선도가 유배 생활을 하던 곳 / 임을 향한 자신의 뜻을 비유함 무음 호리라 주야(晝夜)에 흐르는다. 흐르느냐? 님 향한 내 뜻을 조차 그칠 뉘를 모르나다. 임금 모르는구나 => 임금을 향한 변함 없는 마음 추성의 진호루 밖에 울며 흐르는 저 시냇물아! 무엇을 하려고 밤낮으로 쉬지 않고 흐르느냐? (저 시냇물은) 임을 향한 내 마음처럼 그칠 줄을 모르는구나. O 갈래 : 평시조, 연시조 O 성격 : 우국가, (견회- 마음을 달램) O 운율 : 4음보 O 제재 : 유배지에서의 정회 O 주제 : 연군 (임금을 그리워함) O 특징 : ➀ 시냇물이 흐르는 모습으로 임을 향한 자신의 마음 을 빗대어 표현함 ➁ 유배 생활 중에 지은 작품으로.. 2023. 5.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