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요점정리/고전 운문95

(요점 정리) 촉규화 - 최치원 촉규화 최치원 寂莫荒田側 거친 밭 언덕 쓸쓸한 곳 화자의 쓸쓸한 처지 繁花壓柔枝 탐스런 꽃송이 가지 눌렀네 화자의 뛰어난 능력, 학문적 경지 香輕梅雨歇 장맛비 그쳐 향기 날리고 화자의 뛰어난 능력, 학문적 경지 影帶麥風의 보리 바람에 그림자 흔들리네 車馬誰見賞 수레와 말 탄 사람 그 누가 보아주리 화자의 능력을 알아줄 고귀한 신분의 인물 蜂蝶徒相窺 벌 나비만 부질없이 엿보네 보잘 것 없는 사람 自慙生地賤 천한 땅에 태어난 것이 스스로 부끄러워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을 알아주지 않는 근본적 이유 堪恨人棄遺 사람들에게 버림받아도 참고 견디네 O 갈래 : 한시, 오언 율시 O 성격 : 비유적, 체념적, 애상적, 탄식적 O 제재 : 촉규화 O 주제 :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 시대에 대한 개탄 O 특징 : ① 자연물.. 2023. 5. 13.
(요점 정리) 고인도 날 몯 보고~ - 이황 古人(고인)도 날 몯 보고 ~ 이황 古人(고인)도 날 몯 보고 나도 古人(고인) 몯 뵈. 성현들과 ‘나’는 시간과 공간의 한계 때문에 서로를 직접 보거나 만날 수 없음. 古人(고인)을 몯 뵈도 녀던 길 알 잇, 옛 성현들이 가던 학문과 수양의 길 녀던 길 알 잇거든 아니 녀고 엇뎔고. 고인이 가던 길을 자신도 따라 걸어가겠다는 의지 옛 성현도 날 못 보고 나도 옛 성현을 못 뵈어 옛 성현을 못 뵈어도 성현들의 학문의 길이 앞에 있네 성현들의 학문의 길이 앞에 있는데 안 가고 어찌할꼬 O 갈래 : 연시조, 사대부 시조 O 성격 : 의지적, 교훈적, 도학적 O 제재 : 고인이 가던 길[道] O 주제 : 고인의 삶을 본받고자 하는 의지 (학문 수양에 대한 의지) O 특징 : ① 고인이 깨닫고자 했던 도[.. 2023. 5. 13.
(요점 정리) 보리타작 - 정약용 보리타작 정약용 새로 거른 막걸리 젖빛처럼 뿌옇고 좋거나 기름진 음식이 아닌 요깃거리 -> 농민들의 소박한 삶을 사실적으로 보여 줌 큰 사발에 보리밥 높기가 한 자로세 밥 먹자 도리깨 잡고 마당에 나서니 검게 탄 두 어깨 햇볕 받아 번쩍이네 건강한 농민들의 신체(시각적 형상화) => 기 : 노동하는 농민들의 활기차고 건강한 모습 옹해야 소리 내며 발맞추어 두드리니 노동요를 부르며 발맞추어 일하는 모습(청각적 형상화) 삽시간에 보리 낟알 온 사방에 가득하네 농민들이 열심히 노동한 결과 주고받는 노랫가락 점점 높아지는데 흥이 고조됨 보이느니 지붕까지 나는 보리 티끌 보이는 것이 => 승 : 민요에 맞추어 보리타작하는 농민들의 역동적인 정경 그 기색 살펴보니 즐겁기 짝이 없어 마음이 몸의 노예 되지 않았네 즐.. 2023. 5. 13.
(요점 정리) 고산구곡가 - 이이 고산구곡가 - 이 이 高山九曲潭(고산구곡담)을 살이 몰으든이 아홉 번을 굽이도는 계곡 주모복거(誅茅卜居)니 벗님네 다 오신다. 󰀣풀을 베어 냐고 집을 지어 살 곳을 정함. 어즙어, 武夷(무이)를 想像(상상)고 學朱子(학주자)를 주자가 정자를 짓고 학문을 닦던 곳 리라. => 제 1수 : 고산에 정사를 짓고 주자학을 배움. 고산의 아홉 번을 굽이 도는 계곡의 아름다운 경치를 사람들이 모르더니 내가 터를 닦아 집을 짓고 살게 되니 벗들이 찾아오는구나 아 주자가 학문을 닦는 무이를 생각하면서 주자의 학문을 공부하리라. 一曲(일곡)은 어드고 관암(冠巖)에  빗쵠다. 바위의 이름, 갓같이 생긴 바위 안개가 걷히니 平蕪(평무)에  거든이 遠近(원근)이 글림이로다. 잡초가 무성한 들판 그림같이 아름답도다.. 2023. 5. 13.
반응형